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단답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Haeoreumee
- 작성일
- 2020-03-02 16:05:49
- No.
- 103869
- 교재명
- 전기산업기사 실기 과년도 2
- 페이지
- 24
- 번호/내용
- 09
- 강사명
Q1)어제 질문을 드린 것인데, 확실히 여쭙기 위해서 다시 한 번 질문드림에 양해의 말씀을 드립니다..
건식변압기는 대부분 H종 변압기라 말씀하셨는데요, "H종 절연변압기 = 건식변압기 = 몰드변압기"로 알고 있으면 되는건가요?
그러니깐 아래에 '<3번>의 답을 가지고' <1번>과 <2번>의 답으로 써도 무방하다는 것이지요?
<1번> p.24 09번
H종 절연변압기는 백화점, 병원, 극장, 지하상가 등 화재가 발생했을 때 더 큰 사고로의 진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변압기의 주요 특성으로 장점을 3가지만 쓰시오.
①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②난연성, 자기소화성으로 화재의 발생이나 연소의 우려가 적으므로 안정성이 높다.
③소형·경량화 할 수 있다.
<2번>p.71 12번
(2) 과거에 유입 변압기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건식 변압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대형 백화점이나 병원등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같은 용량의 유입 변압기를 사용 할 때와 비교하여 잇점을 4가지만 쓰시오.
①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②난연성, 자기소화성으로 화재의 발생이나 연소의 우려가 적으므로 안정성이 높다.
③소형·경량화 할 수 있다.
④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
<3번>p.240 03번
03. 유입변압기와 비교한 몰드 변압기의 장점 5가지를 쓰시오.
①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② 전력손실이 감소
③ 자기 소화성이 우수하므로 화재의 염려가 없다.
④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⑤ 습기, 가스, 염분 및 소손 등에 대해 안전한다.
Q2) p.361 02번과 p.415 15번에서 수용률의 의미나 설명을 묻는데요. 의미와 설명이란 것이 모호해서, 아래의 수용률의 의미를 '의미'와 '설명'에 둘 다 사용해도 되는지 질문드립니다.
"수용률의 의미: 수용설비가 동시에 사용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주상변압기 등의 적정 공급 설비용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Q3) 최대수요전력, 평균소요전력과 최대수용전력, 평균수용전력과 최대수요전력계, 최대수용전력계에서 '수요'와 '수용' 같은 말로 둘 다 써도 되나요?
Q4) 단로기 DS와 개폐기 S의 차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Q5) p.148 02번 답을 정규반책을 보고 수정했는데요. 답에 맞는지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절연전선의 종류에 대하여 5가지만 쓰시오.
①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
②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
③ 옥외용 폴리에틸렌 절연전선
④ 옥외용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전선
⑤ 비닐 절연 네온전선
Q6) 첨부사진을 확인해주시고 맞는 내용인지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타임차트에서 비어있는 간격만큼 푸쉬버튼을 누르고 있기 때문에열려있는 상태이지요?
Q7) p.45 04번 "(3)소호리액터 : 지락전류의 제한"이 답인데요. "지락아크의 소호"도 맞는 답인가요?
Q8) p.258 16번과 p.367 13번(2)의 답은 '과전류차단기 정격전류값에서 계산값 이하의 정격전류 선정' 맞나요? 15 20 30 40 50 60 75 100 125 150 175 200 225 250 300 350 400 500 630
- 첨부파일 : Q6내용.jpg (495.89KB)
안녕하세요 exz333님
* 질의가 많을 때에는 한 게시물에 최대 5개씩 질문 부탁드립니다 *
Q1. 건식변압기와 몰드변압기는 다릅니다.
건식변압기 절연물은 기체이고, 몰드변압기 절연물은 고체입니다.
그리고 내열계급은 건식에 B종, F종이 존재하며, 건식에 H종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단, 유입변압기와의 장점 비교에 대하여는
작성하신 문제들의 답 모두 가능한 답들입니다.
Q2.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에 대하여는 최종 아래와 같이 정리하시길 바랍니다.
[수용률]
정의: 최대수용전력과 설비용량과의 비를 나타낸다. 즉, 수용률=최대수용전력/설비용량 x100[%]
의미: 수용설비가 동시에 사용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주상변압기 등의 적정 공급 설비용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부하율]
정의: 어떤 기간 중의 평균수용전력과 최대수용전력과의 비를 나타낸다. 즉, 부하율=평균전력/최대전력 x100[%]
의미: 공급 설비가 얼마나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부등률]
정의: 어떤 계통 또는 그 일부에서 개개의 최대 수용의 합, 그 계통 또는 일부의 합성 최대 수용에 대한 비를 이른다
의미: 각 부하가 최대부하를 타나내는 시간대가 각각 다른 정도를 나타내며, 항상 1보다 크다.
Q3. 네, 가능합니다.
Q4.
단로기(DS : disconnecting switch)
선로로부터 기기를 분리, 구분 및 변경할 때 사용되는 개폐장치로,
단순히 충전된 선로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단로기는 무부하 상태의 전류, 즉 전압 개폐 기능을 갖고 있는 집중 개폐기로
부하전류의 개폐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 단로기는 선로로부터 기기를 분리, 구분 및 변경할 때 사용되는 개폐기로
차단기와 전후단.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전원과의 분리를 확실하게 하여줍니다.
말씀하시는 일반적인 개폐기(switch)는 모든 개폐기 종류를 통칭합니다.
Q5. P148. 2번)
해당 답안은 아래의 내용 중 발췌하여 암기바랍니다.
판단기준과 내선규정에서 수정된 부분을 미쳐 반영하지 못한 답안으로
정오게시 예정입니다. 공부하시는데 혼동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Q6.
첨부하신 위의 그림 ) 맞는 내용입니다.
네, X가 여자되면,
열려있는 상태가 기본인 a접점은 닫히고
닫혀있는 상태가 기본인 b접점은 열립니다.
첨부하신 아래 그림) 맞는 내용입니다.
Q7.
해당 문제는 리액터 설치목적을 묻고 있으므로 설치목적을 작성하셔야 합니다.
소호리액터는 지락전류를 제한하기 위함이 목적입니다.
Q8.
해당 문제는 과전류 차단기 "정격전류" 최대값을 묻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적인 부하전류는 통전하여야 하고 과전류에 대하여 차단해야 합니다.
계산된 57A보다 큰 값을 선정하면 과전류가 되어도 차단을 하지 못하므로 이보다 작은 50A를 선정하며,
이렇게 선정된 50A는 정상적인 부하전류는 통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작성하신 배선용차단기 정격전류값은 맞는 내용입니다.
아래 링크의 첨부파일은 전기기사 실기에서 자주 다루는 기기별 정격을 정리한 파일이오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www.e-dasan.net/board_view.php?id=ref&cate=기사실기&idx=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