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직렬보상회로
- 작성자
- 옹달샘
- 작성일
- 2025-06-02 16:17:55
- No.
- 178960
- 교재명
- 전기기사 회로이론
- 페이지
- 191,197,196p
- 번호/내용
- 17번문, 20번문 직렬보상회로
- 강사명
- 최종인
보내드리는 전달함수의 (s+b)/(s+a) 등의 a와 b의 의미와 20번 문제의 제가 표시한 것에 대한 유도 과정을 모르겠습니다. 17번 문제 해설 중 i(t)로 출력이 주어지는 경우에 대한 실제 문제는 어디서 찾아 볼 수 있는지요? 부가 풀이 과정이 좀 이해가 안 가서 질문 드립니다. 수고하십시오. 감사합니다.~
- 첨부파일 : 1000010528.jpg (2.90MB)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a, b의 의미]
전달함수의 (s+b)/(s+a)에서 a, b의 값에 따라 시스템의 특성이 결정됩니다.
a가 클수록 극이 왼쪽으로 이동하며, 과도응답이 빠르게 소멸합니다.
b가 클수록 영점이 왼쪽으로 이동하며, 고주파 이득을 증가시킵니다.
a>b 진상 보상일 경우, 입력보다 출력의 위상이 더 빠르며, 시스템의 응답 속도와 위상 여유가 증가합니다.
b>a 지상 보상일 경우, 출력의 위상이 입력보다 느리며, 정상상태 오차 개선에 유리합니다.
진지상 보상일 경우, 두 특성이 혼합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회로에 따라 a, b가 달라지며, 전달 함수의 식을 변형하여 (s+b)/(s+a) 꼴로 만든 것입니다.
[20번 문제]
진상 보상 회로의 유도 과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https://youtu.be/alAiuQoinJw
[17번 문제]
i(t)가 L, R, C를 지나면서 합산한 전압 ei(t)는 {R+sL+1/(sC)} * i(t) 이며, 입력이 됩니다.
또한, i(t)가 C를 지날 때의 전압 eo(t)는 1/(sC) * i(t) 이며, 출력이 됩니다.
전달함수는 것은 출력전압/입력전압이므로 eo/ei 가 되고, i(t)가 모두 약분되기 때문에 i(t)를 쓰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