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73번 질문
- 작성자
- towjdtn
- 작성일
- 2025-07-07 15:55:04
- No.
- 180608
- 교재명
- 과년고 2권
- 페이지
- 433
- 번호/내용
- 73
- 강사명
- 최종인
인강에서 스위치를 열면 I 가 C 로 흐른다만 언급을 주셨는데 옆에있는 R 은 무시해도 되는건가요!? R 과 C 에 전류가 분배되어야 하지않나요?? 그냥 문제풀이를 위해 편의상 없는걸로 보고 풀어야하는 건가요?
- 첨부파일 : IMG_1843.jpeg (2.21MB)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문제 회로의 등가회로는 아래처럼 RC 직렬회로가 됩니다.
결국 등가회로를 보고 해석해야 하며,
직렬이 되기 때문에 저항에 흐르는 전류,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 모두 같습니다.
전류 I = E/R · e^(-t/RC) 입니다.
스위치가 닫혀있을때 닫혀있는 부분의 저항은 0이니까 이 부분에 모든 전류가 흐르다가 s 를 열면 저항이 무한대가 돼서 I 가 C 와 R 로 흘러야 된다 입니다. 그래서 스위치 부분이
없는 전류원과 r과 c가 병렬로 있는
회로로 그려져야 하는거 아닌가여
설명중에 rc 직렬회로 그리신것도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ㅜㅜ
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회로 형태로 직접 해석하기가 복잡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 변환 기법을 활용해 회로를 더 단순한 형태로 바꿔서 해석합니다.
전원 변환이란 '전류원과 병렬저항' 형태를 '전압원과 직렬저항'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변환하면 동일한 특성을 갖는 등가회로가 되기 때문에 해석이 훨씬 쉬워집니다.
스위치의 위치와 역할 역시 회로 특성에 맞게 정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t=0+ 순간에는 커패시터의 초기 조건이 등가회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원래 회로와 변환된 등가회로 모두에서 커패시터의 동작 특성이 같습니다.
등가회로로 바꾸는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그냥 전류원 + 병렬저항 을 전압원 + 직렬저항으로 바꾸면 흐르는 전류 등 회로의 특성이 그대로 옮겨지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