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후기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필기
( 30대 / 전공자 ) 30일간의 전기산업기사 필기 합격 과정
- 작성자
- 강주원
- 작성일
- 2025-09-01 09:37:02
- No.
- 4224
안녕하세요.
25년 3회차 전기산업기사 필기 시험의 합격한 과정을 여러분과 나누기 원합니다.
정확하게 일의 자리는 기억이 나질 않지만 제가 합격한 점수를 안내 드리겠습니다.
1. 전기자기 100점
2. 전력공학 80점
3. 전기기기 80점
4. 회로이론 80점
5. 전기설비기술기준 70점
평균 점수는 84 였습니다.1. 성향 파악
1-1) 첫 번째 고려할 사항은 바로 '나에게 주어진 시간은 얼마나 있는가?' 입니다.
저는 30일을 딱 맞추어서 기간을 정했습니다.
이유는 크게 없습니다. 현 상황에 시간을 가장 많이 쓸 수 있는 기간의 범위를 지정했습니다.
1-2) 두 번째 고려할 사항은 바로 ' 나는 어떤 사람인가? ' 입니다.
감이 잘 오시지 않으실 겁니다. 간단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공부를 1~2시간이 아닌 4~5시간 오랫동안 집중 할 수 있는 사람인가? 아니면
-공부를 1~2시간 집중 할 수 있는 사람인가? 아니면
-공부를 1시간 마다 30분 휴식 기준 저녁 몇 시 까지 할 수 있는 사람인가? 등등
나에 대해서 파악하는 것이 우선순위였습니다.
그래야 계획을 수립할 때 " 하루에 이론 동영상 강의를 6강 이상 듣겠다. " 등의
매일 마다 실천 및 수행이 불가능한 과정을 철저하게 배제하고 수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세 번째에 가까운 성향입니다.
제목에 저는 전공자라고 적었지만 전공을 떠난 일을 했었던 터라 (지금은 그만두었지만)
공부를 오랫동안 하지 않았기에 전공 지식 또한 모두 잊어버려서 비전공자와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3~4시간 긴 시간 공부하는 것이 도저히 집중이 안됐습니다.
이론 강의를 시청하는 것도 3강의 이상을 듣기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계획을 다음과 같이 수립했습니다.
2. 계획 수립
1. 동영상 이론 강의는 총 강의 회차가 가장 적은 "속전속결" 강의를 시청한다.
2. 하루에 3강씩 듣는다.
2-1. 단,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은 강의 자체에서 배제한다.
기출 문제집을 위주로 하는 것이 좋겠다 판단 했습니다.
2-2 문제 풀이 강의도 강의 자체에서 배제한다.
기출을 풀면서 익히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 했습니다.
3. 속도는 1.5배로 시청한다.
(강의 완료 후 모든 시간은 이제 문제집 루틴에만 집중한다.)
4. 기출 문제집은 14개년 중 최근 5개년만 보도록 정한다.
(처음에는 7개년으로 생각했는데 도저히 안될 것 같아서 줄였습니다.)
4-1. 1개년 마다 300문제로 5개년의 총 1500문제를 분량을 나눈다.
적정한 분량으로 하루에 1개년 총 300문제만 풀이한다.
4-2. 이것을 반복한다.
( 기출 문제를 풀 때는 전기기기와 회로이론의 계산 문제를 위주로 모르는 것만 강의를 보고
나머지는 그냥 익숙해져서 암기가 되고 응용이 가능해져서 거의 강의를 99프로 안들었습니다.)
2. 계획 실천
1. 계획을 세우고 실천할 때는 넉넉한 휴식 시간을 줬습니다.
강의 마다 30분씩 휴식 시간을 뒀습니다. 점심시간이나 저녁시간에는 1시간 휴식 시간을 뒀습니다.
이유 : 제 성향이 공부를 싫어하고 오래 앉아있기 어려워하는 종류의 사람이기에 이런 식으로 꾸준히 실천하려 했습니다.
다른 수험생 분들도 본인의 성향에 맞는 공부 방법으로 하시길 바랍니다.
2. 이론 강의를 들을 때는 두려움을 없애는 것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유 : 강의 수가 많았기에 모든 강의를 완강할 수 있을까? , 자꾸 잊어버리는데 기출을 풀 수 있을까?
등의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서는 낯선 전기의 개념을 그냥 익숙할 수 있도록 들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낯설어서 두려운 것이고 낯설기에 포기하는 거라고 생각하여 일단 익숙할 수 있도록
이해가 안되더라도 일단 들었습니다.
3. 기출 문제를 풀 때에는 3가지 루틴으로 수행했습니다.
첫 번째는 모든 문제를 눈으로만 지문과 해설을 가볍게 읽고 지나친다.
두 번째는 실제로 해설을 가리고 풀어본다. 만약 틀리면 다시 바로 해설을 보고 다시 가리고 풀고 반복한다.
세 번째는 몇 번의 반복으로 익숙해진 문제 또는 확실히 기억하는 문제는 별도의 표시로 표시하여
내가 모르는 문제를 위주로 반복할 수 있도록 문제의 개수를 줄여준다.
이것을 반복한다.
(저는 12시 기상 위와 같은 방법으로 24시 까지 진행했습니다.
다만, 저는 위의 적힌 내용처럼 12시간 온전히 한 게 아니라 휴식을 충분히 하면서 짧게 짧게 사실상 4~5시간 밖에 못했습니다.)
3. 느낀점
대부분의 수험생이라면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시작하기 전에는 두려움이 앞섭니다.
커뮤니티 및 지인을 통해 전해 듣게되면 전기산업기사 및 전기기사는 취득하기 어려운 자격증이다.
필기시험을 통과하는 것도 장벽이 높다고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제가 느끼기에도 실제로 그런 것 같습니다.
저는 공부를 정말 싫어해서 의자에 2~3시간 이상 앉아서 집중해본 경험이 없습니다. 꾸준히 해 본 경험도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 필기 시험을 준비 하면서 처음으로 짧게 1시간 공부하고 30분씩 오래 쉬는 공부 방법으로 길게 공부를 꾸준히 실천한 것 같습니다.
저에겐 이 방법조차 사실 힘든 과정이었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그렇다고 표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가 이번 필기 시험을 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부분은 두려움을 없애는 것 그리고 시작하는 것의 중요성입니다.
저는 사실 25년도 2회차 시험에 접수를 했으나, 시작이 어려워서 그냥 공부도 포기했고, 시험장도 안갔습니다.
두려움이 앞섰기 때문입니다.
공부를 꾸준히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나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내가 남들이 어렵다고하는 시험을 붙을 수 있을까? 에 대한 나에 대한 불신
그래서 제가 처음 시작할 때 큰 목표를 세우고 긴 시간 공부를 집중하여 하기보다는 작은 목표로 짧지만 꾸준하게 할 수 있도록
스스로 마인드 셋팅을 나는 낯선 것을 익숙해지려고 듣는거야 라고 계속 되새겼습니다.
낯설음이라는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서요.
누구나 그만큼 시작이 어렵다는 것을 잘 압니다. 저도 그렇습니다.
여전히 그렇습니다 왜냐구요? 실기 시험이 남았으니까요. 또 새로운 시작이 되겠죠.
그러나 시작하지 않을 순 없잖아요? 모두가 이유가 있으니까요.
그러니 두렵다면 저처럼 실행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제가 쓴 이 글이 누군가에게 하나의 방법이 응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이론 책은 오리지널을 구매했지만 강의는 전략적으로 선택한 부분이라 속전속결로 들었습니다.
교재 내용이 어느 정도는 일치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시간이 넉넉하시다면 조금씩 꾸준히 가능하시다면 오리지널로 하시는 것이 괜찮고
빠르게 하시길 원하시면 속전속결로 구매하여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2. 기출 문제집은 14개년 모두 구매했지만,시간도 없고 너무 문제가 많기에 최근 7개년만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확실한 것을 원하신다면 14개년 모두 보시는 것이 당연히 좋습니다.
그리고 14개년을 하셨다면 정석대로 공부했다는 가정 하에는 거의 무조건이란 단어를 붙일 수 있을 정도로 확실히 붙을 수 있습니다.
후기 남겨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필기 합격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실기 시험도 잘 준비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