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제 2종 접지저항 값

작성자
장진성
작성일
2020-01-27 14:06:18
No.
102531
교재명
전기설비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페이지
48
번호/내용
37번 38번 / 제 2종 접지저항 값
강사명

37번 - 답 10옴

고저압 혼촉 시에 저압전로의 대지전압이 150V를 넘는 경우로서 1초를 넘고 2초 이내에 자동차단장치가 되어 있는 고압전로의 1선 지락전류가 30A인 경우, 이에 결합된 변압기 저압측의 제 2종 접지저항 값은 몇 옴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R = 300 / 변압기의 고압측 또는 특별 고압측의 1선 지락전류 = 300/30 = 10옴



38번 - 답 10옴

특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한 변압기에 실시한 제 2종 접지공사의 저항 값은 몇 옴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1초 이내에 차단하는 장치가 되어 있으며, 1선 지락전류는 6A이다.


제 18조 제 1항의 규정에 의하여 계산한 값이 10을 넘을 때에는 접지저항 값이 10옴 이하인 것에 한한다.



위 문제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3페이지에

35,000V 이하의 특별 고압 측 전로가 저압 측 전로와 혼촉하는 경우에

150(또는 자동 차단 시간에 따라 300이나 600) / 변압기의 고압측 또는 특별 고압측의 1선 지락전류 의 공식으로 제 2종 접지저항 값을 계산한다고 나와있는데


17페이지에는

특별고압 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경우에 규정에 의하여 계산한 값이 10옴을 넘을 때에는 접지저항치가 10옴 이하가 되도록 할 것(사용전압이 35,000V 이하의 특별고압전로로서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1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이를 차단하는 장치가 되어 있는 것 및 사용전압이 25,000V 이하인 특별고압 가공전선로로서 중성선 다중접지식의 것으로서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2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가 되어 있는 것)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제 2종 접지는 37번 문제와 같은 경우로 계산하되 그 계산값이 10옴을 넘으면 무조건 10옴으로 적용하여야 한다는 것인가요?

COMMENTS

다산에듀 운영교수
2020-01-28 09:52:27

안녕하세요. 장진성님


p48. 37번, 38번)

제2종 접지공사


최대 저항 값이 10옴을 넘길 수 없는 경우 


1) 35kV이하 1초 이내 차단장치가 있는 것(제 23조 1항)

2) 25kV이하 2초 이내 차단장치가 있는 것(제 23조 1항 - 제 135조 1항, 4항)


이 두가지의 경우

제 18조 제 1항의 규정에 의하여 계산한 값이 10을 넘을 때에는 접지저항 값이 10옴이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