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유전체의 비유전율 크기
- 작성자
- 김선훈
- 작성일
- 2020-02-10 19:48:04
- No.
- 103029
- 교재명
- 전기자기학
- 페이지
- 66페이지
- 번호/내용
- 유전체
- 강사명
유전체는 전하가 축적되는 능력=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정도 라고 정의되어 있는데 밑에 표를 보면
티탄산 바, 물->비유전율이 MAX
고무, 종이, 공기-> 비유전율이 MIN에 속하는데
비유전율=전체 유전율(공기 중 유전율은 동일)->비유전율이 클수록 전기가 잘 안통한다 라는 뜻인데 표와 좀 안맞아서 그러는데 뭐가 잘못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선훈님
p66)
비유전율
물질속의 전속 밀도 D와 전계 E 사이에는 D=εE인 비례관계를 가지며 ε를 유전율이라 합니다.
ε을 진공의 유전율 εo로 나눈 값 ε/εo를 비유전율이라고 합니다.
즉, 물질의 유전율 ε과 진공의 유전율 εo과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유전체라는 것은 전하가 있는 물체입니다.
도체라고 하는 것은 전자가 잘 이동하는 물체를 뜻합니다.
유전체가 전하를 저장한다는 것은 분극을 통하여 저장을 하는 것입니다.
즉, (+)전하와 (-)의 전하가 중구난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전계를 가하면
일정한 방향의 배열로 나열이 되어, 한쪽은 (+)극 반대쪽은 (-)극이 되면서 전하를 저장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전자의 이동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전도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즉, 유전체라고 하는 것은 전도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부도체 또는 절연체라고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유전율이라고 하는 것은 얼마나 전하를 잘 저장하느냐,
얼마나 분극이 잘 되게끔 하느냐의 상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유전율과 절연내력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물의 비유전율은 80가까이 되는데 절연내력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