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PT와 CT의 위치
- 작성자
- 김선훈
- 작성일
- 2020-05-13 17:33:10
- No.
- 107265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과년도 2권
- 페이지
- 293페이지&297페이지
- 번호/내용
- 10번&17번
- 강사명
안녕하세요 원장님 PT와 CT의 위치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먼저 8번은 Y 변압기 CT는 차단기 위쪽, 델타 변압기 CT는 차단기 아래쪽으로 하는데 이렇게 하는 것이 기본인가요? 차단기를 기준으로 CT의 위치를 어디로 해주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17번같은 경우는 DS 밑에 차단기를 안넣고 COS로 대신 넣고 MOF 밑에 차단기를 해주는게 일반적이지 않나요? 보통 DS 밑으로부터 PF-MOF-CB-그리고 밑으로 COS와 변압기가 여러대 오고 CB를 기준으로 MOF와 CB 사이에 PT와 COS(PF), CB 2차측에 OCR 3개와 TC가 오는게 익숙한데(예시는 326페이지의 수변전 설비)
이 문제에서는 궁금한 전이 OCR3대와 함께 보통 바로 OCGR이 오는 경우도 있는데 사이에 A(전류계)가 들어간 이유가 첫 번째로 궁금하고
다음으로 MOF 1차측에 PT와 COS가 오는데 여기서는 MOF 2차측에 PT가 오는데 위치는 상광없나요?
즉 익숙한 것은 첨부파일의 왼쪽에 있는 그림인데 이렇게 하지 않고 오른쪽처럼 그린 이유가 있을까요? 또 각각이 정해진 위치가 고정인지, 문제나 조건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훈님
P293. 8번)
해당 문제의 답안과 같이 작성하시면 됩니다.
p297. 17번)
내선규정의 표준결선도를 기준으로 답합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기기들의 구성으로 보아 cb형의 표준결선도입니다.
cb형의 표준결선도와 함게 기기배치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p325. 5번)
문제에서 주어진 기기를 보면 CB와 PF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PF.CB형이며, 답안에 작성된 단선도는
CB 1차측에 PT, CB 2차측에 CT 시설한 PF. CB형으로 그려진 것입니다.
참고로 PF.CB형에는 2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1. CB 1차측에 CT와 PT를 시설하는 경우
2. CB 1차측에 PT, CB 2차측에 CT 시설하는 경우
문제에서 구체적인 언급은 없으므로 위 두 타입의 PF.CB형 중 하나를 그리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