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교류전원에서 인덕터가 이해가 안됩니다;
- 작성자
- 삭제
- 작성일
- 2011-05-21 11:29:58
- No.
- 1129
- 교재명
- 페이지
- 번호/내용
- 강사명
자체 저항이 없는 Ideal한 Inductor 한개를
한개의 전압 소스에 연결한 회로입니다
1. Inductor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변하면, 역기전력 volt가 발생한다고 했는데요,
그 역기전력은 Inductor에 연결된 전선을 타고, 회로 전체의 전압에 영향을 미친다는 건가요?
아니면, Inductor 외부 (회로 바깥)으로 역기전력을 발산한다는 건가요?
가령, Inductor 바로 옆에 또 다른 Inductor를 놓을 경우( 전선으로 연결하지는 않음)
또 다른 Inductor로도 유도전압이 가는거 아닌가요?
그렇다면, 유도전압이 Inductor 자체 회로에도 전달되고, Inductor 바깥으로도 전달되는지요?
2. Inductor에 연결된 전압 소스가 정현파 교류 전압라면
회로에 흐르는 전류 I 는 90도 늦은 sin 파형을 그린다는데
그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왜 그런가요?
저의 생각은요, 전압의 변화만 있고, (전류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유기전압을 발생시키는 상황이 아닌거 같구요
그리고 Inductor의 자체 저항이 없으므로, 회로는 short입니다
그래서 전압이 0이 아닐 경우 전류 I 는 무한대가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잘 이해가 안갑니다;;;;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할까요?
한개의 전압 소스에 연결한 회로입니다
1. Inductor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변하면, 역기전력 volt가 발생한다고 했는데요,
그 역기전력은 Inductor에 연결된 전선을 타고, 회로 전체의 전압에 영향을 미친다는 건가요?
아니면, Inductor 외부 (회로 바깥)으로 역기전력을 발산한다는 건가요?
가령, Inductor 바로 옆에 또 다른 Inductor를 놓을 경우( 전선으로 연결하지는 않음)
또 다른 Inductor로도 유도전압이 가는거 아닌가요?
그렇다면, 유도전압이 Inductor 자체 회로에도 전달되고, Inductor 바깥으로도 전달되는지요?
2. Inductor에 연결된 전압 소스가 정현파 교류 전압라면
회로에 흐르는 전류 I 는 90도 늦은 sin 파형을 그린다는데
그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왜 그런가요?
저의 생각은요, 전압의 변화만 있고, (전류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유기전압을 발생시키는 상황이 아닌거 같구요
그리고 Inductor의 자체 저항이 없으므로, 회로는 short입니다
그래서 전압이 0이 아닐 경우 전류 I 는 무한대가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잘 이해가 안갑니다;;;;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할까요?
1. 인덕터에 발생되는 역기전력이라는 것은 역기전력이 새로 만들어진다...란 의미보다는
전원전압이 그대로 인덕터에 걸리는데, 그 전압을 역기전력이라고 합니다.
즉, 키르히호프의 2법칙에서 전원전압을 걸어줬을때, 부하로 저항이든, 코일이든, 콘덴서든간에
전원전압이 걸리게 됩니다. 그때 코일에 걸리는 그 전압=전원전압=역기전력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 크기는 L*(di/dt)만큼 생기는 것이구요. 한번 차분히 정리해 보시기 바랍니다.
2. 이 문제또한 앞에서 말한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압 L*(di/dt)에 sin파 전류를 가하면
전압의 파형은 전류의 파형과 파형은 같지만, 위상은 90도 앞서게 됩니다.
이재현 원장님의 회로이론 3장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코일은 자속을 발생시킵니다. 이로 인하여 코일은 wL만큼 =2파이fL만큼의 저항 성분을
갖게 됩니다. 이 저항성분으로 인하여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회로이론 3장을 한번 참고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