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테이블 문제에서 (몇가지 질문 있습니다.)
- 작성자
- 옥수수
- 작성일
- 2020-10-22 08:58:25
- No.
- 114888
- 교재명
- 실기 과년도 3
- 페이지
- 6,7
- 번호/내용
- 8
- 강사명
1. 가장 헷갈리는게 표1 처럼 왼쪽에 도체 단면적이라고 나오면
접지선의 굵기 인가요 전선의 굵기인가요 간선의 굵기인가요 전 지금까지 간선 = 전선의 굵기 저런 단면적은 전선의 굵기라고 생각했는데 강의에서 접지선의 굵기로 풀어주셔서요
2. 이 문제에서 2번 전압강하 2% 조건은 필요없는 조건ㅇ인가요? 왜 전동기의 총합으로 그냥ㅇ 푸는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3. A= 17.8LE/1000E 이 공식에서 A는 간선의 단면적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p5. 2013년 1회. 8번)
1) 표1에서 '도체 단면적'이라는 굵기는 접지선의 굵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전선의 굵기를 의미합니다.
전동기 M1의 경우 전선의 굵기, 접지선의 굵기가 모두 2.5이기 때문에
금속관 굵기를 선정하실 때 혼동이 오신 듯 합니다.
금속관 굵기를 선정하실 때는 접지선의 굵기가 아닌 전선의 굵기로 선정하므로
전동기의 분기선의 금속관의 굵기가 답안처럼 구해지게 됩니다.
M1(직입기동) 전선 굵기가 2.5, 전선 본수 3이므로 금속관의 굵기가 16
M2(직입기동) 전선 굵기가 2.5, 전선 본수 3이므로 금속관의 굵기가 16
M3(직입기동) 전선 굵기가 2.5, 전선 본수 3이므로 금속관의 굵기가 16
M4(와이델타 기동) 전선 굵기가 10, 전선 본수 6이므로 금속관의 굵기가 36
M5(기동보상기 기동) 전선 굵기가 35, 전선 본수 3이므로 금속관의 굵기가 36
2)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전선굵기를 구하려면 선로의 길이가 주어져야 합니다.
본 문제에서는 선로의 길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전압강하를 고려한 전선굵기를 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하에서 표를 이용하여 선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3) 간선으로 사용되는 전선의 단면적을 물어보는 문제일 경우
말씀하신 식에서 A는 문제 그대로 간선의 단면적을 의미하는 것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