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개념 질문있습니다.
- 작성자
- 황재현
- 작성일
- 2020-10-24 19:22:37
- No.
- 114984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정규반
- 페이지
- 39p
- 번호/내용
- 정격 전압 관련 개념
- 강사명
개념이 불안정한 것 같아서 질문 몇가지만 올리게 되었습니다.
1.
정격 전압이란 기기가 정상상태로 운전할 수 있는 전압
정격 전류란 정격 전압이 가해졌을 때 기기에 흐르는 전류
이게 맞는 정의로 봐도 될까요??
그렇다면 어떤 전기기기가 있을 경우에만 정격전압/정격전류란 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 건가요??
추가적으로
22.9[kV]에서는 차단기의 정격전압이 25.8[kV] 이다. 여기서 차단기가 정상상태로 운전할 수 있는 전압이 25.8[kV]라고 해석해야하는 건가요?
그럼 25.8[kV]가 넘어가면 차단하고 그 이전에는 차단하지 않는다는 의미인가요???
2.
전부하관련 개념이 정격관련 개념과 혼란스럽습니다.
전부하란 어떤 변압기에서 제공하는 용량을 전부 부하들이 필요로 하는 상태라고 이해해도 되나요?
그렇다면 전부하 전압이란 존재하나요?? 존재한다면 변압기 2차측 전압이랑 같은 값으로 일정한 것 아닌가요?
전부하 전류란 어느 부분에서 어느 값을 말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3.
전부하, 무부하는 변압기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용어인가요??
무부하 전압이란 부하가 걸려있지 않을 경우, 변압기 2차측 전압이라고 봐야 하는건가요??
무부하 전류란 부하가 걸려있지 않을 경우 흐르는 전압인데 부하가 없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지 않나요??
좀 많은데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질문1.
네, 정격전압, 정격전류에 대하여 그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정격전압은 정격 주위온도에서 연속하여 가할 수 있는 직류 및 교류전압의 최대값을 말합니다.
(내선규정에서 정의하는 정격전압 : 전기사용기계기구, 배선기구 등에서 사용상 기준이 되는 전압)
정격전류는 정격전압, 정격주파수에서 규정된 온도상승한도를 초과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흘릴 수 있는 전류 한도를 말합니다.
차단기의 정격전압은 회로의 사용전압에 따라 정해지며, 차단기에 인가될 수 있는 계통 최고전압을 말합니다.
여기서 계통 최고전압이란 차단기가 동작하기 직전의 전압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질문2.
전부하란 정격의 부하시.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전부하 전압이란 용어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모든 기기는 정격의 전압이 존재하고 여기에 부하를 병렬로 연결하여 일괄된 전압에서 사용합니다.
전부하 전류란 전부하시 흐르는 전류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질문3.
발전기, 변압기, 전동기.. 등에서 사용됩니다.
무부하 전압이란 부하가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부하측 양 단자 개방상태의 전압이고 이때 흐르는 전류가 무부하 전류입니다.
정규반 본문에서 용어의 정의에 대하여 질문들을 주로 하고 계시는데,
기출 문제들을 접하면서 용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함께 보셔야 이해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