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지중 전선로
- 작성자
- 황재현
- 작성일
- 2020-10-25 19:32:57
- No.
- 115032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정규반
- 페이지
- 49p
- 번호/내용
- 지중 전선로
- 강사명
1.
직매식, 관로식, 암거식을 비교할 때
직매식은 열 발산이 좋아 허용전류가 크고
관로식은 회선량이 많을수록 열 발산때문에 송전용량이 감소하고
암거식은 열 발산이 좋아 허용전류가 크다는데
직매식과 암거식은 열 발산이 좋은데 관로식은 열발산이 안좋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2.
그리고 관로식에서만 신축, 진동에 의한 시스의 피로가 크다 라고 나와있는데
직매식에서는 시스의 피로가 크지 않나요??
3.
"다"항을 제가 이해하기로는
지중 전선을 직매식으로 할 경우에는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해야하는데,
단 저압 또는 고압에서 콤바인 덕트 케이블, 개장한 케이블, 파이프형 압력 케이블을 사용하면서 지중 전선의 위를 견고한 판 또는 몰드 등으로 덮어 시설할 경우에는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을 필요가 없다.
이렇게 이해했는데 맞는건가요??
그러면 트라프 기타 방호물은 함 같은 것으로 이해하면 되고, 후자의 경우는 함에 담지 말고 땅속에 직접 시설하고 대신 그 위에 판같은 것으로 덮어주기만 하면 된다는 건가요??
4.
마지막으로 지중전선로의 전선은 cable을 사용하며, 방식조치를 하지 않은 지중 전선의 피복 금속체의 접지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한다.
여기서 방식조치란 부식방지를 위한 조치인가요?? cable의 피복은 항상 금속체인가요??
아님 cable의 피복이 금속이면서, 방식 조치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만 제3종 접지공사를 해야하나요??
정규반, p49)
1, 직매식은 전선을 땅에 묻기때문에 모래로 인한 열발산이 좋고 암거식은 공간이 넓어 공기로 인한 열발산이 좋습니다.
관로식의 경우는 관에 케이블을 넣고 땅에 묻는 방식이기 때문에 두 방식에 비해 열발산이 많이 좋지 못 하겠습니다.
2. 어느 경우나 시스의 피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관로식에서 그 경우가 크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3. 해당 사항은 매설깊이에 대한 사항입니다.
"다만,"이후의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는 1.2m이상, 0.6m이상의 매설깊이를 준수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 됩니다.
4. 방식이란 부식을 방지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즉, 이해하신게 맞겠습니다.
피복금속체란 케이블의 피복이 금속체라는 의미가 아니고, 케이블을 넣은 방호장치의 금속체를 의미합니다.
이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이 방식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면 제3종 접지공사를 하라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