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어려운문제 질문합니다.
- 작성자
- 전기기사가즈아
- 작성일
- 2020-11-24 07:50:05
- No.
- 116703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과년도3권
- 페이지
- 1p
- 번호/내용
- 1
- 강사명
1. 1p 1번 (2) 수전계통 결선도에 1상 3선식이라고 되어 있는데 왜 전류를 구할때 I=P/루트3 *V를 쓰는지 궁금합니다.
1상이면 I=P/V가 아닌가요?
2.12p 11번 시퀀스 문제, 강의에서 88M과 88R이 동시에 작동해도 상관 없다. 88M에 의해 단락시켜 88R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이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동시에 작동할 수 있는건가요?
그리고 (2)소문제에 답 3 번과 5번이 88M인데, 3번만 88M이 있어도 자기유지 될 수 있는건가요? 5번이 없어도 작동은 되나요~?
3.23p 9번 a상의 유효 무효 나눠서 전류를 구했는데 b상과 c상은 왜 유효분, 무효분을 안나누는지 궁금합니다.
4. 64p 14번 (3) 만약 문제에 수전용 변압기와 부하용량이 다르다면 어떤걸 기준으로 퓨즈용량을 산정해야 할까요?
5.68p5번 시퀀스 기동보상기법 주회로 부분에 교재와 다르게 첨부 사진처럼 그려도 될까요?
6.243p 1번
(1)의 허용 전압은 e = 380 * 0.07 = 26.6으로 구했는데
(2)의 전선의 굵기는 e = 220 * 0.07 으로 구하는 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3상 4선식만 전선의 굵기 구할 때 상전압을 써야하는 건가요?
아니면 모든 식에서 상전압을 써야하는 건가요? 혼동이오네요ㅠㅠ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p1. 2013년 1회. 1번)
송배전선로 및 수변전 문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우리나라는 송배전, 수변전설비의 경우 3상을 사용하므로 3상으로 계산합니다.
문제에서 1Φ4[MVA]×3 은 4[MVA]의 단상 변압기 3대를 이용해서 3상 전원을 공급한다는 의미입니다.
2) p10. 2013년 1회. 11번)
88R 이 여자되면 리액터 기동이 됩니다.
88M 이 여자되면 이 리액터를 단락합니다.
모든 전류는 단락측으로 흐르고, 리액터쪽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88M이 여자되면 주회로에서 88R이 여자되나, 소자되나 동일하게 됩니다.
3) p23. 2013년 2회. 9번)
a상 전류 = 부하전류 + 지락전류
여기서 지락전류는 유효분만 존재하므로 부하전류를 유효분+무효분 으로 분리한 후
여기에 지락전류의 유효분을 합성합니다.
b상, c상 전류는 부하전류만 흐르므로 전류의 크기를 바로 구한 것입니다.
이 전류들도 유효, 무효 나눈 후 다시 절댓값을 구한 후 계산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습니다.
4) p64. 2014년 2회. 14번)
문제의 그림은 단상변압기 250을 3대 사용하여 750을 공급한다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퓨즈의 용량을 선정할 때 교재와 같이 풀이하는 것입니다.
5) p68. 2014년 3회. 5번)
네 가능합니다.
6) p243. 2019년 2회. 1번)
[허용전압강하]
전압강하 = 송전단전압 - 수전단전압.
* 단상 3선식: 상전압 기준
* 3상 3선식: 상전압(=선간전압) 기준
* 3상 4선식: 선간전압 기준
[전선굵기]
전선굵기를 구하는 공식에서 전압강하는
1선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로 유도되었으므로
* 단상 3선식, 3상 4선식: 상전압 기준
* 3상 3선식: 상전압(=선간전압) 기준
질의하시는 문제는 3상 4선식이므로
소문제 (1)번은 '허용 전압강하'를 묻는 것이기 때문에 선간전압 380V 기준
소문제 (2) 번은 케이블 굵기 선정 시이기 때문에 전압강하는 상전압 220V 기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