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과도현상
- 작성자
- 박건우
- 작성일
- 2020-12-24 23:10:07
- No.
- 117627
- 교재명
- 회로이론
- 페이지
- 175
- 번호/내용
- 0
- 강사명
과도현상에서 rc 직렬회로에서 왜 저항에 먼저 전압이 걸리는건가요 r-l은 리액턴스가 먼저 전압이 걸리는데요
그리고 rL직렬회로에서 i(t)에서 -자연상수e값이 의미하는게 리액턴스에 전압이 먼저 걸리게 되므로 결국 리액턴스에 의한 역전류로 인해 직렬회로 전류식에서 1-e 자연상수e 값에 -가 붙는건가요? r-c직렬회로에서 기전력 off시 콘덴서가 방전하면 역전류가 흐르는 것과 비슷한 현상으로 이해하면되는건가요?
회로.p175)
1. L의 리액턴스 XL은 초기는 ∞, 최종은 0 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압은 저항에 비례하기 때문에 초기에는 L에 모든 전압이 걸리게 됩니다.
C의 리액턴스 Xc는 반대로 초기에 0, 최종은 ∞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에는 저항에 전압이 모두 걸리게 됩니다.
2. 강의에서 유도식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쉽게 정리해서 말씀 드리자면 i(t) = E/R[1-e^-(R/L*t)] 에서, e^-(R/L*t)의 최댓값은 1이 됩니다.
따라서 t가 커질수록 1에 수렴하며, 이 말은 t가 커질수록 i(t) 는 E/R에 수렴한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