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48p,200p
- 작성자
- 전기초보
- 작성일
- 2021-05-02 11:24:34
- No.
- 126955
- 교재명
- 전력공학 2020
- 페이지
- 48p,200p
- 번호/내용
- 48p,200p
- 강사명
1.조상설비로 일정전압을 유지되는 원리가 이렇게 생각하는게 맞는걸까요?
부하변동(부하에서의 유,무효전력변동)-->전력계통역률변동-->전압강하변동-->수전단전압변동-->조상설비로 변동된 역률개선-->전압강하개선-->전압유지
2.플리커 현상에 전압 동요에 원인이 무엇인가요?? 부하변동에 따른 부하 무효전력,유효전력 변동을 말하는건가요?
3.수용가측 플리커 방지대책중에서 전류변동분억제,무효전력분 변동분흡수등에 리액터방식이 사용되는데 콘덴서가 진상전류를 취하여 전압강하보상한다면 리액터는 지상전류를 취하여 전압강하를 보상한다고 생각하면되는건가요?
4.리액턴스보상,전압강하보상,무효전력변동분 흡수,플리커부하전류 변동분억제 크게보았을때, 다 똑같은 의미 아닌가요??
변압기나 유도전동기나 기기 등에서 지상무효전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전력손실이 일어나게 되고, 그 손실을 줄여주기 위해 조상설비(병렬콘덴서)를 사용하여, 지상 무효전력을 공급해 주어 역률을 개선시켜주어 전력손실을 줄여줍니다.
플리커 현상은 전압이 일정하지 않고 왔다갔다하는 전압동요에 의해 발생합니다.
여러 계통에 전력공급을 해주다 보면 타 계통의 전압동요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되므로
전원을 전용계통으로 공급하는 것은 플리커 현상 경감대책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말씀해주신 부하변동에 의한 변동도 전압동요의 원인이 됩니다.
플리커현상 발생원인중에는 고조파의 원인도 있습니다. 직렬리액터는 고조파를 억제시켜주는 목적으로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