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콘덴서 내압

작성자
바다붕어
작성일
2021-05-28 12:57:57
No.
128177
교재명
2020 이론, 전자기학
페이지
58
번호/내용
26
강사명

1. 내압은 콘덴서를 제작할 때 정하는 스펙으로 이해했습니다.

즉, 1uF의 콘덴서를 1kV에 견디게끔 의도하여 제작한다라는 의미입니다.


이 문제에서도 3개의 콘덴서 각각의 내압을 1kV라고 조건을 주었는데 

갑자기 0.02uF은 내압이 500V이다 라고 말씀하시니 

"0.02uF인 콘덴서의 내압을 1kV로 설정했는데 다른 것들과 연결하니 내압이 500V로 바뀌었다? 즉, 제작 당시 정했던 스펙이 변했다?"라고 생각하게 되어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2. 풀이를 보시면 내압을 마치 전압으로 간주하여 풀이되어 있는데('걸린다' 는 표현)

그 이유도 궁금합니다. (내압은 스펙이 아닌가요?)


COMMENTS

담당교수
2021-05-31 09:51:37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0.01㎌ 0.02㎌ 0.05㎌ 이 직렬로 연결되어있을 때 전압은 정전용량과 반비례하여
각각의 콘덴서에 분배됩니다. 따라서 정전용량이 가장 작은 0.01㎌에 가장 큰 전압이 분배됩니다.

이 때 0.01㎌에 인가되는 전압은 1kV를 초과하면 안됩니다.

만약 말씀하신대로 0.02㎌ 콘덴서에 1kV의 전압을 인가한다면 정전용량에 반비례하기 대문에
0.01㎌ 콘덴서에는 2kV의 전압이, 0.05㎌의 콘덴서에는 400V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0.01㎌ 콘덴서는 2kV의 전압을 견디지 못하고 고장나게 됩니다.

따라서 0.01㎌에 인가되는 전압을 1kV로 정한 후 다른 두 콘덴서에 인가할 수 있는 최대전압을
다시 계산하는 것입니다.

2. 내압은 견딜수 있는 전압이라는 의이미여
풀이에서는 1kV의 전압이 걸렸을 때 이를 버틴다 라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