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능사실기
99쪽 보조회로결선 부분에서..
- 작성자
- 삭제
- 작성일
- 2013-07-28 23:51:06
- No.
- 13670
- 교재명
- 페이지
- 번호/내용
- 강사명
사진을 보면, 퓨즈베이스 입력부분이 위쪽 단자대 6번,8번으로 부터 나오는데요,
동강부분하고 좀 다른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책대로 해도 될런지요?
추가질문이 잇습니다. 관작업시, CD관이 U자 모양일 때는 걍 전선을 안에 넣은채로 구부려서 새들
을 박는것이 편하지 않을까요?(감점요인이 되는지..)
그리고,베이스 핀에는 선을 두개씩 꽂아야 한다고 하는데, 왜 세개는 안되는지요?
마지막으로,복선도에 보면 선이 여러군데에서 분기하는걸 흔히 보는데요, 한가닥 선을 군데군데 까서 다른선을 분기(선을 꼰다거나 납땜등등)을 하는 경우는 실제 현장에서 있는 경우가 있을까요?(질문하기가 좀 부끄럽네영;;)
동강부분하고 좀 다른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책대로 해도 될런지요?
추가질문이 잇습니다. 관작업시, CD관이 U자 모양일 때는 걍 전선을 안에 넣은채로 구부려서 새들
을 박는것이 편하지 않을까요?(감점요인이 되는지..)
그리고,베이스 핀에는 선을 두개씩 꽂아야 한다고 하는데, 왜 세개는 안되는지요?
마지막으로,복선도에 보면 선이 여러군데에서 분기하는걸 흔히 보는데요, 한가닥 선을 군데군데 까서 다른선을 분기(선을 꼰다거나 납땜등등)을 하는 경우는 실제 현장에서 있는 경우가 있을까요?(질문하기가 좀 부끄럽네영;;)
1. 퓨즈의 입력은 차단기의 출력이나, MC의 1,3번으로부터 출력이 되어야합니다. 책의 표시가 잘못
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2. 전선을 넣은채로 구부려서 새들을 박는것은 감점요인이 되지 않습니다. 다만, 전선의 길이를 정확하게
잴수 없고, 작업상 불편함이 생겨 관을 먼저 작업후 전선을 넣게됩니다.
그러나, 제안하신 바와 같이 연습을 해보는것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3. 베이스의 전선 물림구조는 철판이 전선을 누르는 구조로서 양쪽이 평형일때 가장 접속이 잘 됩니다.
그리고 나사산의 길이가 제한되어 있어, 여러가닥의 전선을 넣게되면 접속이 불안정할 우려가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양쪽에 한가닥씩 2가닥으로 그 전선수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4. 복선도는 전선의 접속을 이해하기 편하게 나타낸것이므로, 실제로 접속할때에는 단자에서 분기하여야
할 것입니다. 제어반의 실제현장에서도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