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공사실기

15년 4회 14번 재질문

작성자
너무막혀
작성일
2022-06-13 16:09:31
No.
145135
교재명
전기공사기사 실기 기출문제
페이지
849
번호/내용
15년 4회 14번
강사명
최종인

https://www.e-dasan.net/board_view.php?mode=search&id=explain&category=%EA%B3%B5%EC%82%AC%EC%8B%A4%EA%B8%B0&colsname=a.REGUSER&searchtxt=dkssudgk68&idx=145048

재질문 드립니다!


전기공사기사 15년 4회 14번 문항의 해설을 보면

A = 17.8LI/1000e 공식을 사용하여 전선의 굵기를 구하였습니다. (3상 4선식)

역률이 1이 아니라 85인데 해당 공식을 사용해서 답을 구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전기기사 06년 1회 11번 문항을 보면

같은 전선 굵기 구하는 문제임에도

A = 30.8LI/1000e 공식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3상)

해당 이유는 이재현 원장님이 강의에서 말씀하시길 해당 공식은

" 역률 = 1, 고유저항 = 1/58, %도전도 = 97%" 이라는 조건에서 유도된 공식이므로 사용하면 안된다고 말씀하십니다.


전기기사 16년 2회 14번은

해당 공식 자체를 유도하는 문제인데 

해당 공식이 "R = (고유저항x선로길이) / 단면적" 에서 부터 유도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곧 리액턴스 성분이 없이 역률이 1인 상황에서  A = 17.8LI/1000e가 유도된 것임을 확인 해준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전기공사기사 15년 4회 14번 문항 같은 경우 역률이 1이 아니기에

단면적을 구할 때   A = 17.8LI / 1000e 를 사용하면 안된다고 판단 되는데

사용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추가로 A = 17.8LI/1000e 이러한 약산식을 사용하면 안되는 경우를 판단할 때

역률이 1이 아니라는 조건보다는 1/58이 아닌 다른 값의 고유저항을 주는 경우에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것일까요?



 


COMMENTS

다산에듀 담당교수
2022-06-14 09:23:59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역률이 1"이다 라는 조건은 선로의 리액턴스가 없고, 저항성분에서만 전압강하가 일어난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부하의 역률"과는 무관합니다.

전기공사기사 15년 4회 14번 문항)

전선의 단면적을 구할 때는 일반적으로 "선로의 역률이 1"이라서 리액턴스를 무시한다라고 생각하고 문제를 풀어주셔야 합니다.

해당 문제의 조건 자체가 리액턴스 값을 알수도 없고, 전기기사 06년 1회 11번 문항으로 풀고 싶어도 풀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선로에 R만 존재한다라고 생각하고 푸셔야 합니다.

그리고 해당 조건에는 고유저항과 %도전율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기존에 암기한 공식으로 문제를 풀어주셔야합니다.

문제에 없는 조건을 만들어내서 풀이하지는 않습니다.

전기기사 06년 1회 11번 문항)

앞서 말씀드린 역률이 1 인 조건은 부하의 역률이 1이어야 된다는 말이 아닙니다.

해당 문제를 17.8LI/1000e를 쓰지말라는 이유는 문제에서 1/55라는 조건이 주어졌기 때문입니다.

17.8LI/1000 공식의 경우 고유저항 1/58, %도전도 97%의 조건하에서 유도된 공식입니다.

따라서 반대로 문제에서 연동선의 고유저항이 1/58이고, 경동선의 경우 %도전도가 97%이다.라는 조건이 주어졌을 때는

17.8LI/1000의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V=I * 1/58 * 100/97 * L/S 의 식을 써서 그 유도과정을 보여 주어야 합니다.

해당문제의 경우 고유저항이 1/55로 주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1/55라는 숫자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결론만 말씀드리면,

일반적으로 단면적을 구할때는 R값만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06년도 11번 문제를 보시면 리액턴스를 무시한다라는 조건이 들어간것도 그 때문입니다.

이때 리액턴스를 무시한다라는 얘기는 선로의 역률이 1이다 라는 조건이 되는겁니다.

만약 리액턴스 값이 주어졌다면 실제 R=로l/S공식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CASE1) 별말 없이 전선 단면적을 구하라고 한다 -> A = 17.8LI/1000e와 같은 공식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CASE2) 고유저항이 1/55이다. -> A = 1/55 * LI/e와 같이 적어주셔야 합니다.

CASE3) 연동선 고유저항 1/58, 경동선 %도전율 97% -> A=1/58*100/97*LI/e식을 쓰셔야 합니다.

정형화된 식을 쓰냐 안쓰냐의 차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을 잘 파악하셔야 합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역률"이 아니라, 고유저항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