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HFIX 품명 외 5

작성자
부리둥두
작성일
2022-06-22 08:23:53
No.
145495
교재명
2022 전기(산업)기사 실기 이론서 1권 이론
페이지
3
번호/내용
HFIX
강사명

질문1(3쪽). HFIX의 품명에 '가교'가 들어가야 하지 않나요?

450/750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HFIX)



화재 발생시에 기존의 PVC 절연물에서 발생하는 유독성 가스 중 하나인 할로겐(염소, 불소, 염소 등)으로 인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할로겐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저독성(halogen free wire) 가교난연폴리올레핀을 절연제로 사용하며, 허용최고온도는 90℃까지고요. 아파트등의 옥내배선용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영문명은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Cross Linked Polyolefin(HFIX)입니다.  외국에서는 XLPO(Cross Linked Polyolefin) LSZH(Low Smoke Zero Halogen)라고 부릅니다.

출처: https://electricguy.tistory.com/168 [Kim's Family Blog:티스토리]

450/750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HFIO)



영문명은 Halogen Free Flame-Retardant Cross Linked Polyolefin(HFIO)이며, HFIX와 차이점은 절연체(절연물)을 가교했다는 것이며, 폴리올레핀을 사용한 것은 동일합니다. 그리고 동일한 규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s://electricguy.tistory.com/168 [Kim's Family Blog:티스토리]


질문2. 조명을 칭할 때 명칭이 달라지던데

전기공사기사에서 말하는

등, 전등, 등기구, 램프는 각각 무엇을 뜻하나요?

각각의 의미에 차이가 있나요?

답안 작성 시에도 어느 것을 쓰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르고 채점이 다르게 되나요?



질문3(14쪽). DS, DZ

DS의 명칭은 단락'방향'계전기,

DZ의 명칭은 '방향'거리계전기로

두 심벌에서 방향을 뜻하는 D가 모두 앞쪽에 있음에도

그 명칭은 DS에서는 뒤쪽에, DZ에서는 앞쪽에 쓰여있는데

그 반대로 적으면 오답으로 감점되나요?

(예시) DS의 명칭을 쓰시오. 답안1) 단락방향계전기. 답안2) 방향단락계전기.



질문4(35쪽). 2) 배전선에서의 전압 조정 (1) 고정 승압기 (2) 자동 전압 조정기(AVR)

고정 승압기와 자동 전압 조정기 모두 단권변압기 원리를 이용하나요? 단권변압기를 직접 사용하나요?



질문5(47쪽). 2) 분기회로 수를 구할 때 16A로 나누었는데

20A(배선차단기에 한한다)가 아닌 16A로 나눈 이유가 무엇인가요?



질문6(110쪽). 가. 역률개선용 콘덴서 용량 계산

(112쪽) 라. 3) 부하말단(저압측 전동기 등)에 분산 설치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110쪽) 가. 1) 일정 유효전력의 경우로 역률개선용 콘덴서 용량을 구하면 되고,

(112쪽) 라. 1) 고압측(고압모선)에 설치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111)쪽) 2) 일정 피상전력의 경우로 역률개선용 콘덴서 용량을 구하면 되나요?


'교재 110쪽 가. 1) 일정 유효전력의 경우' 바로 아래에는

부하와 역률 개선용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한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교재 111쪽 2) 일정 피상전력의 경우'는

부하와 역률 개선용 콘덴서가 어떻게 접속되어 있는지 그림이 없습니다. 어떻게 접속되는지 궁금합니다.




COMMENTS

담당교수
2022-06-22 09:44:09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X = Cross Linked(가교)라는 뜻을 내포합니다.
 
HFIX : 450/750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이 정확합니다.

교재의 오타로 생각됩니다.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2) 큰 상관 없습니다.

3) 교재에 수록된 대로 작성해주셔야 합니다.

4) 자동 전압 조정기는 입력전압이 변동되거나 부하기기로 인해 전압 변동분이 검출되었을 경우 탭을 이용해 전압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장치입니다.

5)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분기회로 전류는 16[A]로 적용해 주시면 됩니다. 배선용차단기를 적용해야할 경우라면 해당 조건이 명확하게 주어질 것입니다.

6) 부하 말단에 설치, 고압측에 설치하는 방법에 따라 역률개선 시 콘덴서를 구하는 용량이 구분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림이아니라 상황을 보고 판단해주셔야 합니다.. 아래 영상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