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주상변압기 무부하 시험 방법
- 작성자
- 부리둥두
- 작성일
- 2022-06-28 05:01:24
- No.
- 145762
- 교재명
- 2022 전기(산업)기사 실기 이론서 2권 단원별 기출문제
- 페이지
- 174
- 번호/내용
- 문제3
- 강사명
(174쪽) 문제3. 강의해주신 내용 중에 보통은 주상변압기 무부하 시험에서 시험전압을 인가하는 쪽은 변압기 '저압'쪽으로 하신다고 강의해주셨는데, 시험전압 인가하는 쪽에 PT가 있으므로 이 시험은 주상변압기의 고압측에서 시험한 것이라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변압기 무부하 시험을 할 때 시험전압을 변압기 저압쪽에 인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 문제에서처럼 변압기 고압쪽에 인가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변압기 단락 시험을 할 때는 변압기 저압쪽 또는 고압쪽 어느 곳에서 시험을 하고 이유는 무엇인가요?
변압기 무부하 시험을 할 때 시험전압을 변압기 저압쪽에 인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 문제에서처럼 변압기 고압쪽에 인가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변압기 단락 시험을 할 때는 변압기 저압쪽 또는 고압쪽 어느 곳에서 시험을 하고 이유는 무엇인가요?
변압기 무부하 시험시, 2차측을 개방하고 1차측의 전압을 정격전압으로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이 경우 1차측 전압이 정격전압을 쉽게 맞추기 위해서는 그 전압이 낮은것이 유리합니다.
따라서 고압측을 개방하고, 저압측에서 정격전압을 맞추어줍니다.
단락시험의 경우는 반대가 됩니다.
단락시험은 1차 정격전류가 흘러야 되기 때문에, 2차측 단락 후 1차측에 전압을 조금씩 올려서 1차측에 1차정격전류가 흐르게 만들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