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전압강하율과 전압변동율의 차이
- 작성자
- goodies
- 작성일
- 2022-06-29 19:30:51
- No.
- 145865
- 교재명
- 전력공학
- 페이지
- 41
- 번호/내용
- 전압강하율 전압변동율 비교
- 강사명
안녕하세요, 원장님
자세하고 필요한 증명들이 제공되는 훌륭한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질문 드리고자 하는 내용은 전압강하율과 전압변동율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전압강하에선 송전단 수전단 선간전압으로 정의되고, 전압변동율에선 정격전압과 무부하 전압으로 정의되는데, 무부하시는 송전단 전압이 돼서 서로 같게 되고, 문제는 부하시의 전압과 수전단 전압 차이인데, 수전단 전압은 부하에 앞서 단락시키고, 단락지점의 전압으로 생각하면 되는 것인가요? 정격전압은 제조사가 정한 전압이라 하는데, 만일 정격전압이 송전전압보다 높으면 정격전압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요? 또한 우연의 일치로 수전단 전압과 제조사가 정한 정격전압이 같으면, 전압강하율과 전압변동율은 같은 것인가요? 아니면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정격전류 조건도 추가로 필요한 것인가요?
또한 문제풀이 p49 13번을 보니, 송전단 전압 66[kv], 무부하 수전단 전압이 63[kv]라 되어 있는데, 무부하면 전류가 흐르지 않아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과 같아야 하는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먼저, 전압강하율과 전압변동률의 정의에 대해 다시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전압강하율은 말 그대로 전압이 얼마나 떨어졌는지를 보는 것으로,
송전단 측에서 보낸 전압에 비해 수전단의 받는 전압이 감소한 비율을 말합니다.
전압변동률은 수전단 측에서 고려되는 것이며, 수전단측의 무부하 일 때의 전압에 비해
부하가 있을 때의 정격전압이 얼마나 변동되었는지 그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전압변동률에서 무부하 시에 송전단 전압이 되는 것이 아닌 무부하 시 "수전단"전압을 말하는 것입니다.
무부하일 때도 전압은 걸려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