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진원
- 작성일
- 2022-11-22 00:00:03
- No.
- 152510
- 교재명
- 2021 전기기사 필기 기출 문제집
- 페이지
- 282
- 번호/내용
- 9
- 강사명
1. 강의에서 3000÷60을 시간으로 하시는데 이것은 단위가 rps 또는 회/시간 아닌가요? 이것이 시간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2. 378p 34번 선지 4는 왜 안 되나요? 직렬 콘덴서 설치하면 인덕턴스 감소 시켜서 유도성 리액턴스가 감소하게 되어 cos값이 커질 거로 예상이 되는 데 왜 안 되나요?
1.
히스테리시스손 = 4 f V Hr Br [W]로 구할 수 있는데
N/60 이 뜻하는 것은 주파수 f입니다. 즉 주파수라고 하는 것은 1초당 주기가 반복되는 횟수를 의미하며
문제에서는 이를 매분 3000회라고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분당 3000회이므로 이를 초당으로 바꾸면 3000을 60으로 나누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분동안 60m를 갔다면 1초당 1m를 간 것입니다.)
2.
직렬콘덴서를 삽입함으로써 리액턴스는 줄어들게 되지만,
이는 선로의 리액턴스를 변화할 뿐 역률개선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않는다(전체의 5~10%정도)고 간주하고 있습니다.
직렬콘덴서의 주목적은 전압강하 보상, 안정도 증가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