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단상2선식 전압 강하 공식 문의

작성자
더블고
작성일
2022-12-01 18:13:05
No.
152622
교재명
전기기기
페이지
40페이지
번호/내용
단상2선식 전압강하
강사명

전압 강하 설명해주실때 e=I(Rcosθ+Xsinθ)에서 단상 2선식에서는 R과 X에 2를 곱하는 것으로 설명해주셨습니다만 왜 2를 곱해야하는지 정확한 의미가 

잘 이해가 안됩니다.(어느 자료를 보더라도 정확한 의미를 설명해주는 자료를 보지 못했습니다.) 

 부하에 2개의 전선이 연결되어 모든 전류가  2개의 전선을 통하여 부하로 공급되기 때문인지 아니면 한개의 전선이 부하로 들어가는 것과 

그  부하에서 나오는 전선에 의한 것을 합해서 그런 것인지요? 만일 부하로 공급되는 1개의 전선과 그 부하에서 나오는 전선에 의한 것이라면

3상의 경우에도 부하로 공급되는 전선과 그 전선에서 나오는 것이 있으므로 이 또한 2를 곱해야하는 것이 아닌지요?

무조건 암가하기 보다는 그 원리를 이해하고 싶어서 문의합니다. 

COMMENTS

다산에듀 담당교수
2022-12-02 09:17:44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교재에 적혀있는 단상 전압강하 식은 단상2선식을 말하며, 이는 원래 e = 2×I(Rcosθ + Xsinθ) 입니다.
전원에서 부하까지 들어가는 선이 총 2가닥이기때문에 전압강하가 2번 발생하여 2IRcosθ + Xsinθ이 됩니다.
이때의 R과 X는 1선당 저항과 리액턴스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앞에 있는 2를 R과 X로 보냄으로써
R과 X를 2선 전체의 저항과 리액턴스로 바꿔 표기한 것입니다. 이것이 단상 2선식의 전압강하입니다.



단상3선식에서는 e = I(Rcosθ + Xsinθ)를 쓰며, 이때의 R과 X는 1선당 저항과 리액턴스입니다.
그 이유는 바로 중성선때문입니다.

회로에서 a상, b상, 중성선이 있다고 하고 각 상의 부하가 평형이라고 한다면,
a상과 중성선사이의 전위차로 인해 전류가 흐르고 b상과 중성선사이의 전위차로 인해 전류가 흐릅니다.
그런데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를 비교하면 a상에 의한 전류와 b상에 의한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사실상 중성선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압강하가 한번만 발생하여 e = I(Rcosθ + Xsinθ)이 되는 것입니다.


교재에 적힌 3상 전압강하 e의 공식은 일반적으로 3상 3선식을 나타냅니다.
부하가 평형이라 가정하고, 벡터에 따라 한 상에 발생한 전압을 선간전압강하로 환산하게되면
√3이 곱해지며, 여기서는 1상 전체분으로 R과 X를 나타냅니다.

즉, e = k·I·(Rcosθ + Xsinθ) 라는 전압강하식에서

단상2선식의 경우 k=2
단상3선식, 3상4선식에서 중성선이 있고 부하가평형인 경우 중성선에 전류가 흐르지않으므로 k=1
3상3선식에서 k=√3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