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단상3선식 전압강하 관련 질문
- 작성자
- 마메미모무
- 작성일
- 2024-09-17 17:43:42
- No.
- 171169
- 교재명
- 2024 전기기사 실기 이론 1권
- 페이지
- 24p
- 번호/내용
- 단상3선식 전압강하 관련 질문
- 강사명
- 남민수
안녕하세요.
2024 전기기사 실기 이론서(남민수 강의) 의
02강_(p.22~26)_2장 송·배전선로(2) 강의내용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단상 2선식의 전압강하를 구하는 문제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이 저항 R과 리액턴스 X가 주어진다면,
1선당이 아닌 전체 선로분의 R과 X를 의미하기에 전압강하 공식을
2i(Rcosθ+Xsinθ) 가 아닌 i(Rcosθ+Xsinθ) 로 사용하면 된다고 말씀하셨는데
[질문 1]
만약 단상 3선식의 전압강하를 구하는 문제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이 저항 R과 리액턴스 X가 주어졌고 ,
단상 3선식의 세 선을 A 상의 선 , B 상의 선 , 중선선 N 이라고 가졍한다면, 주어진 R 과 X 는
A 나 B 중 1선의 R 과 X 인가요?
아니면 중성선을 제외한 A 와 B 두 가지 선 전체의 R 과 X 인가요?
아니면 A , B , N 세 가지 선 전체의 R 과 X 인가요?
[질문 2]
만약 단상3선식의 상전압을 기준으로 한 전압강하를 구하는 문제에서 저항 R 과 리액턴스 X 가 1선당의 것일 경우,
i(Rcosθ+Xsinθ)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 맞나요?
만약 단상3선식의 상전압을 기준으로 한 전압강하를 구하는 문제에서 저항 R 과 리액턴스 X 가 A상의 선과 B상의 선, 두 선의 전체의 것일 경우,
(1/2) x i(Rcosθ+Xsinθ)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 맞나요?
만약 단상3선식의 상전압을 기준으로 한 전압강하를 구하는 문제에서 저항 R 과 리액턴스 X 가 A상의 선과 B상의 선과 중성선 N, 세 선의 전체의 것일 경우,
(1/3) x i(Rcosθ+Xsinθ)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단상 3선식에 대해서 질문하신 것처럼 단독적으로 전압강하 공식을 이용해서 답을 도출해 내는 문제는 출제가 되지 않을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안내해 드리지 않았습니다.)
이것을 질문해주신 것처럼 "공식화"하게 되면은 상당히 복잡해집니다. 경우의 수가 많기 때문에
그래서 강의에서도
한선에서의 전압강하는 I(Rcos세타+Xsin세타)로 기억하시면 어떤 문제가 나오든 상관이 없습니다.
단상 3선식의 경우 평형상태이므로 중성선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중성선에는 전압강하가 없습니다.
a선과 b선에 전압강하만 존재 합니다.
그렇다면 a선 b선 2개니까 2I(Rcos세타+Xsin세타)겠네요! 하는것도 맞지 않습니다.
이 경우는 a와 b사이에만 부하가 걸린 경우 해당이 되는 것이고,
단상 3선식은 전력선과 중성선 사이에 부하가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공식을 써라 라고 정의내릴 수 없습니다.
[질문1]
중선선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질문2]
1) 상전압 기준으로 해석할 경우 중성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1선에서만 전압강하가 발생하므로 i(Rcos세타+Xsin세타)로 해석합니다.
2) 1/2를 곱하는 것이 맞으나, 일반적으로 이렇게 해석하지 않습니다.
3) 중성선은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단상 3선식의 경우 상에 걸리는 부하, 선간에 걸리는 부하에 따라서 흐르는 전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단상3선식의 경우 공식화를 시키는 것이 아니라,
한선에 걸리는 전압강하는 i(Rcos세타+Xsin세타) 해당 공식만 잘 기억하셔서, 문제 주어진 조건대로 해석하는 것이 맞습니다.(사실 단상2선식이든 3상이든 하나의 공식에서 모두 파생 된것입니다. 단상 3선식에서는 독단적으로 해당 공식을 잘 쓰지 않으므로 안내를 안해드린 것 뿐 모든 상황에 원리는 동일합니다.)
단상 3선식과 관련된 기출문제를 많이 푸시면은 느낌이 오실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