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아주 간단한 질문
- 작성자
- 이경의
- 작성일
- 2025-03-07 15:42:14
- No.
- 175353
- 교재명
- 기사실기 기출문제
- 페이지
- 000
- 번호/내용
- 000
- 강사명
- 이재현
안녕하십니까?
1)수변전설비에서 전력량계를 결선하는 그림문제에서.....
본선과 pt(ct)연결시 1P, 2P,3P 를 결선도를 그리라고 하는데요.
L1 - 1P에 , L2-2P에, 연결시 본선의 숫자(1,2,3)순서는 좌에 우로?, 또는 우에서 좌 방향으로 1,2,3라인 정해지나요? 그 순서가 정해져 있나요?
2) MOF와 같이 연결되는 것이 DM - VARH되는 경우도 있고, 어떤 도면은 KW 되어있는데 차이점은 요?
3) DM:최대수요전력량계 역할이 무엇인가요? 즉, 전력량계(KW)와 다른점이 무엇인가요?
감사합니다.
교재 페이지, 번호/내용과 함께 작성해주시면 더욱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Q1.
그리고 적산전력계의 결선도에서 동그라미는
적산전력계의 단자를 나타내며, 이 단자에서 PT와 CT가 결선됩니다.
[PT] P1, P2, P3
[CT] S 는 전원측(supply), L은 부하측(Load) 단자를 나타냅니다.
해당 적선전력계의 결선은 내선규정의 내용으로써
그대로 암기해주셔야 합니다.
Q2.
1) MOF 옆 칸이 1개인 경우: WH 작성
* 다만 문제의 도면에 kW, PF 등이 존재한다면
WH의 기능을 DM, KW, PF등으로 세분화 시킨 것으로 이해하고 DM으로 작성
(WH와 DM을 함께 작성하지 않음)
2) MOF 옆 칸이 2개인 경우: DM, Var 로 작성
3) MOF 옆 칸에 WH가 오고 그 옆이 빈칸인 경우 : VarH로 작성
Q3.
DM은 최대수요전력량계입니다.
말 그대로 최대로 사용한 유효전력을 측정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DM 안에 kW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kW는 유효전력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