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역률이 다른 경우의 전압 강하 계산
- 작성자
- 소섬
- 작성일
- 2025-03-12 11:08:46
- No.
- 175561
- 교재명
- 나침판
- 페이지
- 8
- 번호/내용
- 유형2 역률이 다른 경우
- 강사명
- 남민수
흐르는 전류, 저항 R, 리액턴스 X, 역률 θ 가 주어진 송전선로에서 전압강하 공식이
루트3 * I*( R cos θ + X sin θ ) 라는 것은 벡터도를 통해 이해했습니다.
다만 이 공식의 경우 벡터도에서 수직성분에 해당하는 IXcosθ + IRsinθ 부분을 0으로 근사하게 됩니다.
때문에 V = IZ로 구하는 실제 전압강하의 크기와는 차이가 있음도 인지하고 있습니다,
역률이 다른 경우의 전기기사 14년 1회 기출문제에서
해당 공식을 쓰지 않고
지상, 진상 여부와 역률을 통해 세 전류를 모두 유효분과 무효분을 구하면
1구간까지 흐르는 전류가 명확하게 140-40j 라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선로 임피던스인 0.3 + 0.4j를 곱하고 3상인 점을 고려하여 루트3배를 해주면
루트3*(140 - 40j)(0.3 + 0.4j) = 루트3*(58+44j) 가 더 정확한 전압 강하 아닌가요?
풀이에서는 44j라는 무효분을 무시하고 공식을 써서 루트3*58이라는 실수분만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저의 방식으로 풀어도 실수부는 풀이와 같은 답안이 나옵니다.
아마도 수직성분을 0으로 근사하는 공식의 특성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두가지가 궁금합니다.
1.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일까요?
2. 잘못 이해한 것이 아니라면 실기에서 해당 방식으로 계산해도 될까요?
(공식을 쓰지 않고 V = IZ 에서 복소수의 곱셈을 이용해 전압강하를 계산)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전압강하 공식 이전에 유도된 결과로 풀이하셔도 됩니다.
그런데, 전압강하 공식 역시 이해하신대로 근삿값이긴 하나,
일반적으로 잘 사용하고 실기 시험에서도 정답으로 인정되니, 둘 다 가능하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