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다이오드 정류회로
- 작성자
- 노익장
- 작성일
- 2025-03-13 16:53:41
- No.
- 175633
- 교재명
- 나침판
- 페이지
- 63
- 번호/내용
- 12
- 강사명
- 남민수
다이오드 정류회로 설명하면서 기출문제(10년 2회) 반파 정류회로 후단의 가동 코일형 및 가동 철편형 전류계 관련 질문입니다.
정류기 1개를 사용한 반파 정류회로 후단의 직류전압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라면 이해가 되는데 이 문제에서는 교류 실효값을
묻고 있습니다.
현장 경험이 없는 입장에서 정류기를 거친 후단의 직류전압 또는 직류전류의 평균값이 관심사항이지 정류회로의 입력에 해당하는 교류 입력전압의
실효값이 왜 문제로 출제되는지 궁금합니다. 이 것이 혹 리플전압 확인 위해 필요한 것인지, 아니면 실제 현장에서 무엇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교재를 보면 교류 실효값을 측정하는 계측기도 많은 종류가 있고요.
처음 교재 및 학습 동영상을 접하고 직류를 잘못 설명하는 것이 아닌지 잠깐 착각했었습니다.
실기시험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떨어지지만 궁금한 점을 못 참는 성격이라 이렇게 글 남깁니다.
먼저, 가동코일형, 가동철편형 전류계는 모두 정류기를 거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또, 전류계의 구조와 동작원리에 의해서 가동코일형은 직류 평균값, 가동철편형은 교류 실횻값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어있습니다.
정류기를 거쳐 정류가 된다고 하더라도, 현재 다이오드를 1개만 사용한 반파정류회로입니다.
반파정류회로는 정류효율이 다른 정류회로에 비해 낮고, 맥동률은 매우 높습니다.
여기서 맥동률이란, 직류분에 포함된 교류분의 성분입니다.
단상 반파정류회로의 맥동률은 121%로, 직류분 대비 교류분이 훨씬 많은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을 고려하였을 때 교류분도 존재하므로 해당 문제에서 교류전류를 가동철편형으로 구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