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데브난 등가 회로가 개방이 아닌데도 쓸 수 있나요?
- 작성자
- calllman
- 작성일
- 2025-03-17 13:18:59
- No.
- 175812
- 교재명
- 회로이론 2023
- 페이지
- 86,82
- 번호/내용
- 11번
- 강사명
- 최종인
1.
82쪽 데브난의 정리에는
개방 단자전압이라고 해서 개방일 때를 이야기 하는데
초보임을 양해 바랍니다.
11번은 개방이 아닌데요. 개방이 아닌 다른 회로에서도 데브난의 정리를 쓸 수 있습니까?
2.
그럼 18쪽에 14번, 15번 16번, 53쪽 22번 같은 회로에도 데브난의 정리 쓸 수 있습니까?
3. 그리고 이건 책이 틀렸으면 정오표에 넣어야지.
틀려놓고 그런게 중요한게 아니다 하면 어떻게 합니까?
https://www.e-dasan.net/boardView?id=explain&idx=175517&cate=%EA%B8%B0%EC%82%AC/%EA%B3%B5%EC%82%AC%ED%95%84%EA%B8%B0
4. 82쪽에 부하 임피던스 ZL이 나오는데
그림에는 ZL이 없으면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5. 그리고 데브난 등가 임피던스 , R TH는 Z TH라 해야되는 거 아닌가요?
아니면 등가 저항이라 하던가
6. 이상적인 전류원은 내부저항이 클 수록 좋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임피던스가 무한대가 좋다면 이것은 개방회로같은 건데
전류가 안 흐르면 쓸모가 없는 거 아닌가요? 이게 좋은 건지 왜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질문1.
테브낭 등가회로란 임의의 두 단자를 개방하여
개방된 곳의 전압을 테브낭 등가전압,
개방된 곳에서 회로쪽을 바라 보았을 때의 합성저항을 테브낭 등가저항이라 하며,
개방된 두 단자에 대하여 테브낭 등가회로를 만들 수 있습니다.
11번문항의 경우 RL을 제거한 두 단자 a, b에 대한 테브낭 등가회로를 만드는 것입니다.
질문2.
등가회로란 회로를 쉽게 해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회로를 해석하는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질의하신 문제의 경우 테브낭 등가회로를 이용하여 풀이 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질문3.
질의하신 인덕터의 점 표기의 경우 틀린 내용이 아닙니다.
점표기는 강사마다 설명하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될 수 있습니다.
나오는 자속의 방향, 들어가는 자속의 방향 등등 설명하기 나름입니다.
중요한 것은 점이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으면 가동,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으면 차동이라 이해하시면 됩니다.
질문4.
테브낭 등가회로에서 부하가 있든, 없든 개방하게 될 a, b 단자에서의 전압, 합성저항이 중요한 것입니다.
질문5.
저항만의 회로에서는 Rth 라고 표현하고, 임피던스 회로에서는 Zth라 표현합니다.
질문6.
전류원의 등가회로는 전류원가 병렬연결된 내부저항(임피던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류원에 나온 전류가 온전히 부하에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내부저항이 무한대(개방)상태가 될때입니다.
따라서, 이상적인 전류원의 내부저항은 무한대가 됩니다.
아래의 링크 영상을 참고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NxRzloypReU?list=PLEQomsX2Orc1kzTzCfsoy3_L0i2BtwUII&t=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