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전기공무원

발전제동, 회생제동 차이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전기150
작성일
2025-03-20 17:42:24
No.
176008
교재명
2025 전기이론 기출문제집
페이지
2015년도 서울시 전기기기, 2023년도 지방직 전기기기
번호/내용
19번, 5번
강사명
남민수

안녕하세요 강의 내용을 정리하며 2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지난번에 발전제동과 회생제동에 대해서 질문을 드린 후에 아래와 같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 회생제동: 동기속도 이상으로 회전시켜 유도발전기로서 제동시키는 제동법

- 발전제동: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가 동기속도 "이하"일 때 적용되는 제동법


1. 이재현 교수님의 23년도 지방직 전기기기 5번 강의를 함께 수강해보았는데, 강의에서 회생제동과 발전제동이 발전기의 구간(s<0)에서 사용된다고 하셨습니다.

지난 번에 질문드린내용에서 발전제동이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가 동기속도 이하일때 적용되는 제동법이라면 슬립 s가 0보다 작지 않은 것을 의미하는데  이재현 교수님의 강의와 상충하는 것 같아서 제가 어떤 부분을 잘못 생각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2.  일반적으로 유도기의 속도-토크 특성 곡선에서

- 0<s<1: 유도전동기

- s<0: 유도발전기

- 1<s<2: 유도제동기

이렇게 3가지 영역으로 나누는 것이 맞을까요?  이렇게 나눈 범위가 맞다면 회생제동과 발전제동 모두 유도 발전기 영역에 속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COMMENTS

담당교수
2025-03-24 09:23:34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전기제동에는 제동을 잡을때 발전된 전기를 저항기를 통해 열에너지로 외부로 방출해 버리는 발전제동과 만들어진 전기를 전차선으로 보내 인근에 운행중인 차량에 보내 사용하게 하는 회생제동으로 나뉩니다. 즉, 두 방식 모두 s<0이 맞습니다. 다만, 회생제동이 발전을 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므로 유도 발전기로서 제동시키는 제동법의 답으로 회생제동이 된것으로 보입니다.

2) 네, 그렇게 기억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