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전기공무원
발전제동, 회생제동 차이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전기150
- 작성일
- 2025-03-20 17:42:24
- No.
- 176008
- 교재명
- 2025 전기이론 기출문제집
- 페이지
- 2015년도 서울시 전기기기, 2023년도 지방직 전기기기
- 번호/내용
- 19번, 5번
- 강사명
- 남민수
안녕하세요 강의 내용을 정리하며 2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지난번에 발전제동과 회생제동에 대해서 질문을 드린 후에 아래와 같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 회생제동: 동기속도 이상으로 회전시켜 유도발전기로서 제동시키는 제동법
- 발전제동: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가 동기속도 "이하"일 때 적용되는 제동법
1. 이재현 교수님의 23년도 지방직 전기기기 5번 강의를 함께 수강해보았는데, 강의에서 회생제동과 발전제동이 발전기의 구간(s<0)에서 사용된다고 하셨습니다.
지난 번에 질문드린내용에서 발전제동이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가 동기속도 이하일때 적용되는 제동법이라면 슬립 s가 0보다 작지 않은 것을 의미하는데 이재현 교수님의 강의와 상충하는 것 같아서 제가 어떤 부분을 잘못 생각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2. 일반적으로 유도기의 속도-토크 특성 곡선에서
- 0<s<1: 유도전동기
- s<0: 유도발전기
- 1<s<2: 유도제동기
이렇게 3가지 영역으로 나누는 것이 맞을까요? 이렇게 나눈 범위가 맞다면 회생제동과 발전제동 모두 유도 발전기 영역에 속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1) 전기제동에는 제동을 잡을때 발전된 전기를 저항기를 통해 열에너지로 외부로 방출해 버리는 발전제동과 만들어진 전기를 전차선으로 보내 인근에 운행중인 차량에 보내 사용하게 하는 회생제동으로 나뉩니다. 즉, 두 방식 모두 s<0이 맞습니다. 다만, 회생제동이 발전을 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므로 유도 발전기로서 제동시키는 제동법의 답으로 회생제동이 된것으로 보입니다.
2) 네, 그렇게 기억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