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단권변압기 관련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범3
작성일
2025-03-23 18:19:14
No.
176154
교재명
2025 전기(산업)기사 실기 이론서
페이지
100
번호/내용
단권 변압기 질문
강사명
남민수



질문1) 단권 변압기(승압기) 용량 구하는 공식은 총 3개인가요?

1) 자기용량=e2*I2,  2) 자기용량= (V2-V1)*I2, 3) 자기용량=부하용량*{(V2-V1)/V2}

단, e2*I2에서는 220V*I2이고, V2-V1=200V라서 200*I2, 부하용량*{200/V2} 입니다. 그래서 용량값은 공식별로 다르게 나오지만 둘 다 정답이 된다. 맞죠?



질문2)  강의 초반 부분에서 직렬권선 2차 전압의 크기를 V2-V1의 값이라고 하고, 강의 후반에서는 e2라고 하는데  e2와 v2-v1의 전압 크기값은 서로 다릅니다. 

예시1) 변압비 3300/220. V2: 3520V, V1: 3000V, 2차직렬권선 전압 크기: V2-V1= 220V. 이때 e2의 크기는 220V

예시2) 기출문제 19년 3회에서 변압비 3300/220. V2: (1+1/a)*V1=3200v, V1: 3000. V2-V1=200V. 이때 e2의 크기는 220V


V2-V1 과 e2의 서로 전압 크기값이 다른데 둘 다 직렬권선 2차 전압이라고 표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보통은 e2를 직렬권선 2차측 전압이라고 말하지 않나요?


단권 변압기 1차측 전압, 2차측 전압은 e1, e2 로 표현하는지 아니면 V1과 V2-V1으로 표현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질문3) 단상의 단권변압기는 단권변압기 개수가 1개를 의미하고, 그냥 단상변압기는 우리가 보통생각하는 일반적인 상이 1개인 변압기 1대를 의미하나요?

 '문제에서 단상 교류 회로 3000v를 승압히려고 변압기를 설치한다.' 라고 나온다면 단권변압기 갯수 1개(1대)를 의미하는거죠?


또한 단권변압기가 아닌, 일반적인 단상 변압기도 승압, 강압 기능 가능하죠?




질문4) 단자전압, 정격전압 명칭 구분 질문드립니다.

변압비의 e1, e2는 정격전압, 기전력 E를 의미하고, V1, V2는 승압 이전 낮은 단자 전압과 승압 이후 높은 단자 전압. 즉 V1, V2는 단자전압을 의미하나요?


변압비에 보통 e2는 220V이던데,  만약 변압비가 3300/210 일때,  e2가 210V가 나오면 210V도 정격전압인가요?



질문5) 단권 변압기 V결선에서 [자기용량/부하용량 공식]은 2차측 직렬권선 2개를 합친 총용량을 의미하고, [자기용량=e2*I2] 공식은 V결선 2차측 직렬권선 1개만의 용량을 의미하는 게 맞나요?


질문6) 직렬권선이 왜 직렬권선인지, 분로권선이 왜 분로권선 명칭인지 궁금합니다.

2차측 직렬권선의 뜻은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의 연결이 2차측 권선 기준으로 보면 직렬 형태라서 직렬권선 명칭을 사용하고, 

1차측 분로권선은 1차측 권선 기준으로 부하와 병렬 연결이라서 1차측 권선은 분로권선이라고 표현하는 건가요?




질문7) 단권변압기(승압기) V결선과 일반 단상 변압기 2개의 V결선도와 동일한가요?

또한 3상 델타 결선 변압기 1대가 고장나면 단상 변압기 3대와는 다르게 V결선으로 3상 부하에 전원 공급을 못 하나요?


질문8) 승압기 장, 단점, 용도 질문있습니다.

승압기 장점: '누설자속이 거의 없다.' 대신 '누설자속이 없다.' 라고 적어도 되나요?

승압기 단점: '단락전류가 크다'를 Is=E/Z 공식을 사용해서 이해하면 된다고 말씀하셨는데, 승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이 딱 붙어있어서 절연이 불가능하기때문에  단락전류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승압기 용도: '배전선로의 승압용변압기' 대신,  '승압용 변압기'로 답안을 작성하고, '유도전동기의 기동 보상기용 변압기' 대신 '기동 보상기용 변압기'로 답안을 작성해도 괜찮을 까요?

그리고 기동보상기=단권 변압기인데, 이때 단권 변압기는 승압기의 역할인가요? 아니면 기동 전압을 낮추는 강압기의 역할인가요?

단권 변압기가 보통 승압기로 사용한다고 알고 있는데, 강압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질문9) 변압기 호흡작용 정의를 구어체로 답안을 작성해도 정답이 될까요?


새로 작성한 답안: 변압기의 열에 의해서 절연유의 부피가 수축, 팽창한다.

이때 외부의 공기가 변압기 내부로 (안으로) 들어왔다가 나갔다가 하는 현상이다.


교재답안과 차이점은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열' -> '변압기의 열',  변압기의 절연류 -> 절연류, 출입 ->  들어왔다가 나갔다가 

COMMENTS

담당교수
2025-03-24 09:21:11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먼저, 원활하고 신속하게 답변드리기 위해 교재질의 시 1개의 질의글당 3개이내의 질문으로 여러 개로 올려주시면 감사드리겠으며 양해부탁드립니다.

답변 1)
네, 둘 다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다만, 문제에서 3300/220과 같이 220의 정격전압이 주어진다면
220을 e2의 값으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답변 2)
V2-V1이라고 하는 것은 고압측전압에서 저압측전압을 뺀 값,
e1, e2는 각각 분로권선과 직렬권선에 걸리는 전압입니다.

단권변압기의 구조에서 e1은 곧 저압측전압 Vℓ과 같고
e2는 Vh-Vℓ과 같습니다.

답변 3)
네, 단권변압기는 곧 단상변압기 1개를 의미합니다. 단상변압기도 승압, 강압이 가능하며 단권변압기는 강압용도 있긴하지만 주로 승압용으로 사용됩니다.
문제에서도 승압용으로 출제됩니다.

답변 4)
네, 3300/210으로 주어져있을 때 210V가 정격전압입니다.

답변 5)
네, 맞습니다. 직렬권선 2개의 자기용량을 합하려면 2e2I2가 됩니다.

답변 6)
분로권선은 1차측권선과 2차측권선을 공통으로 공유하여 사용하는 권선을 의미하고, 직렬권선은 공용되지않고 2차측전압에서만 사용되기때문에 직렬권선으로 칭합니다. 해당 명칭과 같이 정해져있습니다.

답변 7)
동일합니다. 또한, 3상 △결선 변압기 자체가 단상변압기 3대로 구성되어있어 동일하게 취급하시면 됩니다.

답변 8)
말씀하신 것 모두 다 가능합니다.
기동보상기법에서 사용되는 단권변압기는 강압용으로 사용됩니다. 단권변압기의 탭을 조정하여 전압을 낮춰 기동전류를 줄이는 데 목적을 둡니다.

답변 9)
가능합니다. 교재의 답안과 꼭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서 답하지않아도 됩니다.
어떤 것을 설명하고있는지 문장에서 잘 드러나면 모두 정답으로 인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