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설비불평형 질문 있습니다
- 작성자
- 컬러
- 작성일
- 2025-04-02 20:46:47
- No.
- 176807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기출문제집
- 페이지
- 374
- 번호/내용
- 19년1회11번 소문제2번
- 강사명
- 남민수
안녕하세요.
소문제2번 질문 있습니다...
1. 이 그림이 3상3선식 맞나요?
지문에서는 "그림과 같은 3상3선식 " 이라고 했는데 단상처럼 생긴거 같아서요 ㅠ
3.
설불 공식의 분자 (최대-최소) 값 적용할때 제일 우측에 있는 M(전동기) 값을 분자에 포함 시키고 안 시키고 구분이 조금 안 되는데요
분자에 m 값을 포함시켜서 계산을 하고 안 하고 매번 헷갈리는데요..
그림으로 판단해야 되는건가요? 아니면 지문으로만 판단해서 분자에도 M(전동기)값을 대입할때 단상,3상 어느때에만 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실기 시험날이 얼마 안 남아서 ㅠㅠ 유도과정 학습은 어려울 것 같아요....
1.
해당 그림은 3상 3선식입니다. a, b, c상에 접속된 것입니다.
만약 단상 3선식이었다면, 가운데 문자가 n으로 표현되어 중성선을 나타내야 합니다.
2.
교재 464페이지 전기기사 2020년 4·5회 5번 문제의 해설을 보시면
단상 3선식에서의 설비불평형률과 3상3선식, 3상4선식에서의 설비불평형률 공식이 두 개가 나와있는데요,
3상 3선식 같은 경우에는 "각 간선에 접속되는 단상 부하 총 설비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질의하신 문제에서도 Pab, Pbc, Pca에 접속된 단상부하용량을 계산할 때 고려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만약 3개의 선에 모두 접속된 3상부하라면, 분자에 포함되지 않겠습니다.(단상부하가 아닌 3상부하이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