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점이 수전점이라고 하면 통상적으로 변압기 2차측이 되어서 전압이 11kv가 A점에 걸려야 하는거 아닌가요..? A점에서 바라봤을때 임피던스는 전원측을 의미하는거아닐까요..? 제가 뭘놓치고 있는건가요? 이경우는 승압변압기를 썻다고 생각해야하나요..? 그렇다면 그건 문제 조건에 무엇을 보고 판단 해야하는건가요?
COMMENTS
담당교수
2025-04-15 08:41:31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해당 질문 네이버카페에서 답변 드렸습니다.
이 질의글을 올리신 시점보다 약간 늦게 드렸는데,
질의글이 주말 간 많아 순차적으로 답변드리고 있는 점 양해부탁드리겠습니다.
우선, 고장점에서의 3상 단락전류를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고장점 기준으로 구합니다.
문제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수전측이라고 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어진 전압 11/154[kV] 조건 그대로 해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우측에 있다고 해서 무조건 수전측이라고 해석할 수 없습니다.
제한된 조건 내에서 결과적으로 문제 조건을 해석해보면,
발전소에서 만든 전압을 높여, 즉, 승압하여 송전하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해당 질문 네이버카페에서 답변 드렸습니다.
이 질의글을 올리신 시점보다 약간 늦게 드렸는데,
질의글이 주말 간 많아 순차적으로 답변드리고 있는 점 양해부탁드리겠습니다.
우선, 고장점에서의 3상 단락전류를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고장점 기준으로 구합니다.
문제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수전측이라고 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어진 전압 11/154[kV] 조건 그대로 해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우측에 있다고 해서 무조건 수전측이라고 해석할 수 없습니다.
제한된 조건 내에서 결과적으로 문제 조건을 해석해보면,
발전소에서 만든 전압을 높여, 즉, 승압하여 송전하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면, 발전소에서 가까운 변전소에서 승압을 하는 것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