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질문이 있습니다
- 작성자
- leehss1234
- 작성일
- 2025-04-17 21:19:08
- No.
- 177870
- 교재명
- 제어공학
- 페이지
- 79
- 번호/내용
- 동영상 강의 21분 55초
- 강사명
- 이재현
제어공학 15강 21분 55초
x1 dot(t)= 0 x1(t) +1x2(t),
x2 dot(t)= -2x1(t)-3x2(t) +r(t)
'
[x1]=[0 1] [x1]+[0]
[x2] [-2 -3] [x2] [1]
[x1]= [0 1] [x1] [0]
[x2] [-2 -3] [x2] [1]
A B
y(t)= [1 0 ] [x1]
C [x2]
D
여기에서 y=[1 0]에서 1은 뭐고 0은 뭔지 궁금합니다 B에서는 X1이 0이고 X2가 1인데 왜 y(t)=1[1 0]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C에서 1,0은 어떤거를 말하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어 p79, 상태방정식)
상태방정식은 행렬을 이용하여 1차 미분 방정식으로 나타낸 방정식입니다.
여기서 출력방정식을 나타내면 y(t)=Cx(t)로 나타낼 수 있으며 C 는 행렬 식을 문자로 표현 한 것입니다.
이때 y(t)는 x1(t)의 과 같기 때문에 행렬 [1 0] 을 두어야 계산 값이 x1(t) 값만 남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