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질문 드립니다
- 작성자
- 연
- 작성일
- 2025-05-05 02:04:58
- No.
- 178294
- 교재명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 페이지
- 124p
- 번호/내용
- 10
- 강사명
- 송건웅
안녕하세요
124p 10번 질문 드립니다
P델타는 상전압과 상전류를 써서 3VIcosθ를 쓴건 알겠는데
PY결선에서 P =3(V²/R)을 쓰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다른 분이 올리신 질문에 대한 답을 봤는데도 잘 이해가 안돼서요ㅠ
답변에
*속전속결 7장 단원별 기출문제 10번 p124
유효전력 공식(3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P = 3 × 상전압 × 상전류 × cosθ
② P = √3 × 선간전압 × 선전류 × cosθ
③ P = 3I²R
④ P =3(V²/R)
③번에서 전류 I는 정확히는 R에 흐르는 전류입니다.
④번에서 전압 V 역시 정확히는 저항 R 양단에 걸리는 전압입니다.
라고 되어 있던데 200이나 200/√3도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아닌가요..?ㅠ
Y결선의 상전압이 200/√3 이면 똑같이 3VIcosθ로 해서 3 x 200/√3 x (200/√3)/20 x 0.5 같은 식으로 한다던가..
뭔가 질문을 드리면서도 뒤죽박죽 같아서 이상하긴 한데 답변 주실 수 있으시면 부탁 드립니다ㅠ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Py결선에서 3VIcos세타를 사용하실려면,
3 * 200/루트삼 * (200/루트삼)/20이 됩니다.(순수한 저항이므로 cos세타 = 1)
결과적으로 3(V^2/R)과 같습니다.
V는 양단이 아니라 "저항" 양단에 걸리는 전압입니다.
아래 영상 10번 해설도 참고해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Knktj9Q_oD0&list=PLima8mAJzF2jnEtheUR4mif8MUXT5TCVr&index=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