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전기공무원
2023년 지방직 전기이론 5번 질문
- 작성자
- 실기
- 작성일
- 2025-05-06 12:43:25
- No.
- 178319
- 교재명
- 9급 전기직 공무원 기출문제집 전기이론
- 페이지
- 298
- 번호/내용
- 5
- 강사명
- 남민수
2023년 지방직 전기이론 5번 질문있습니다.
상호인덕턴스 M을 갖는 자기결합회로에서 V2값을 구할때 먼저 전류가 들어오는곳을 (+), 전류가 나오는곳을 (-)로 하고, 그다음에 1차측에서 전류가 들어오는곳에 점이 없으면 점이없는곳은(+), 점이 있는곳은 (-)로 정하고,반대로 전류가 들어오는곳에 점이 있으면 점이 있는곳은 (+), 점이없는곳은(-)로 정하며, 1차측에 적용되는 (+),(-)정하는 법칙을 2차측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고 강사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1차측에서 전류가 들어오는곳에 점이 없으면 점이없는곳은(+), 점이 있는곳은 (-)로 정하고,반대로 전류가 들어오는곳에 점이 있으면 점이 있는곳은 (+), 점이없는곳은(-)로 정하는 법칙이 2차측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2차측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이유를 설명부탁드립니다.
"점"이 의미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코일이 감긴 방향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어떤 철심에 직선도체를 감는다고 했을 때, 바깥쪽으로 감을수도 안쪽으로 감을수도 있습니다.
즉, 이부분을 구별한 것이 점입니다.
만약 바깥쪽으로 감은 것을 점으로 표현한다면, 안쪽으로 감는 것은 점표시를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점의 방향이 같다면 해당 코일은 같은 방향으로 감겨져 있기 때문에 동일한 극성의 전압을 만들어 냅니다.
반대로 점의 방향이 다르다면 코일은 다른 방향으로 감겨져 있기 때문에 반대 극성의 전압을 만들어 냅니다.
전자를 감극성, 후자를 가극성 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선지에서 점의 위치가 같다면 1차 2차 전압의 극성은 동일하고, 점의 위치가 다르다면 극성이 다르게 됩니다.
전류 방향이 들어오는 부분을 (+)로 잡은 것은 일반적으로 변압기가 1차측에 전압이 인가되고 전류가 들어오기 때문에 이를 (+)로 잡은 것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