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25년 1회 실기 18번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범3
작성일
2025-05-06 17:59:01
No.
178328
교재명
2025년 제1회 실기 해설강의
페이지
유튜브 강의
번호/내용
역률 개선 전후의 피상전력은 같다.
강사명
권동성



질문1) 계산식을 작성할 때 복소수 형태로 작성해도 정답이 되나요?

지상역률일 때 전류는 I= 실수 -j허수 [A].  전압은 V= 실수 +j 허수[V].


근데 지상역률일때 피상전력의 무효전력 부호를 모르겠습니다.

  피상전력은 Pa=VI= P -jPr 


(P+jPr 인지, P-jPr인지 모르겠습니다. 우선 저는 지상역률일 때의 전류처럼 무효분은 -j로 해서Pa= P-jPr로 풀었습니다.)


500=(400+P) + j(-300+150).   

이때 전력용콘덴서는 진상분! 그래서 Pr= +j150 을 더해줬습니다.

(전류도 진상일때 +j 라서, 무효전력 진상분도 +j로 계산했습니다.)


500=(400+P) -j150. 

 500^2=(400+P)^2+150^2. 

P= 76.97 KVA

이런 계산과정을 답안지에 작성하면 오답인가요?



혹시 복소전력 공식을 생각하면 피상전력은 진상역률, 지상역률 상관없이 Pa = P ± jPr 가 되기 때문에, Pa= P+jPr로 풀거나, Pa=P-jPr로 풀거나 상관이 없나요?




질문2) '역률 개선 전후의 피상전력은 같다.' 의미 = '변압기 전용량 사용(변압기 전체 용량을 사용).' 을 의미하나요?

변압기 용량도 500KVA이고,  부하의 용량도 500KVA 라서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부하 500kva가 아닌, 역률개선 전의 변압기 용량 500kva 값) =  (역률이 0.8인 부하 용량 500kva + 전력용 콘덴서 150kva + 증가시킬수 있는 저항부하 유효전력 값 P) 인가요?


질문3) 답안작성에는 [전력용 콘덴서 설치 후 무효전력 Q2=300-150=150KVA 식이 있습니다.] 강의에서는 (500)^2=(400+P)^2+ (300-150)^2으로 
전력용 콘덴서 설치 후 무효전력 용량을 의미하는 계산식으로 작성했습니다.
그런데 강의에서 굳이 전력용 콘덴서 설치 후 무효전력 (300-150) 계산식을 작성 안하고, 
바로 (500)^2=(400+P)^2+150^2 으로 작성하고 P=76.97KVA 로 풀어도 된다고 하셨습니다.  
전력용 콘덴서 설치 후 무효전력을 따로 계산과정에 작성안해도 되는게 맞죠? 

질문4) 기호를 작성할 때 작성답안에서는 기존 부하의 유효전력을 P1, 증가시킬 부하를 P2로 적었습니다.
강의에서는  기존 부하의 유효전력을 P, 증가시킬 부하를 X.  설정했습니다.
혹시 계산식에서 기호를 적을 때 동일하게 '기존부하의 유효전력 기호를 P',  '증가시킬 부하의 유효전력 기호 P' 둘다, P로 적어도 괜찮은가요?
 
(기존부하: P, 증가시킬 부하: P 로작성)
아니면 무조건 차이만 나게끔 기호를 작성하면 되는건가요? 기존 부하의 유효전력: P, 증가시킬 부하의 유효전력 P1 혹은 P2

(P, P1 혹은 P, P2 로 작성.)

COMMENTS

담당교수
2025-05-07 09:52:12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답변 1)
알고계신 허수부호대로 학습해주시면 되며, 또한 작성하신 것처럼 답안을 쓰셔도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답변 2)
그렇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피상전력이 동일해야 합니다.

답변 3)
네, 따로 계산과정에 설치 후 무효전력을 표현하지않아도 괜찮습니다.

답변 4)
기호는 답안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고 판단이 되나, 풀이가 혼동될 우려가 있어
의미가 다를 경우에는 기호를 다르게 적으실 것을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