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3상 델타결선 일 때 전력손실, 동손, 철손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범3
- 작성일
- 2025-07-01 16:53:02
- No.
- 180215
- 교재명
- 2025 전기(산업)기사 실기 이론서
- 페이지
- .
- 번호/내용
- 전력 손실과 동손, 철손 공식
- 강사명
- 남민수
제가 생각한 개념이 맞는지 안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질문1) 3상 델타결선에서 전력손실 공식은 P=3*IL^2*R은 이때 전류는 선전류.
동손도 손실이기 때문에P=3*IL^2*R도 동손의 전류는 선전류 인가요?
강의에서의 효율공식은 단상이니까, 선전류=상전류이고, 3상 Y결선에서도 선전류=상전류인데, 3상 델타결선이면 전력손실과 동손의 전류는 선전류로 계산해야하나요?
질문2) 3상 델타결선일 때 변압기 효율 공식 문제.
3상 델타결선 효율을 구할 때 사용하는 공식은 단상 효율 공식과 3상 효율 공식 2가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단상 공식: 단상 2선식에서는 선전류=상전류, 선간전압=상전압.
3상 공식
3상 델타 결선 효율 공식에서, 전류는 모두 선전류 이다.
그리고 철손도 Pi가 단상의 철손이라면 동손처럼 3을 곱해줘야 한다. (3*Pi)
제가 작성한 공식이 정답인 개념인가요?
질문3) 헷갈리는 부분이 P=3*IL^2*R [W]. 공식과 P=3*IP^2*R [W] 이 2개입니다.
공식의 형태는 같은데, 선전류와 상전류로 차이가 발생합니다.
보통 유효전력 공식은 선전류, 선간전압 과 상전압, 상전류 일 때 다릅니다.
유효전력과 소비전력에서는 아래의 공식이고,
3상 델타결선 전선, 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전력손실과, 동손은 유효전력 [W]이기 때문에
P=3*IL^2*R [W]
이 개념과 공식이 맞나요?
질문4) 3상 델타결선 변압기, 발전기 효율에서 만약 동손이 선전류 IL이 아니고, 상전류를 사용하는 게 정답인 공식이라면,
이런 공식이 가능한 건가요?
(*아직 제가 동손의 전류가 선전류인지, 상전류인지 정확하게 모르고 있는 상태입니다.)
출력은 선간전압, 선전류로 3상 유효전력 공식을 사용하고, 동손은 상전류를 이용해서 3상 유효전력 공식을 사용해서 합하는 방식이 가능한건가요?
둘다 유효전력 공식이라서 상관 없나요?
즉, 출력(선간전압, 선전류로 출력 유효전력 계산)+ 동손(상전류와 저항 R)로 계산한 값을 합치는 방식을 해도 되는건가요?
질문1.
1)전력손실은
송전단과 수전단 사이의 전선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의미합니다.
전류는 선전류가 되고, 저항은 선로의 저항을 뜻합니다.
2)동손은
일반적 변압기 권선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의미합니다.
단상변압기 1대의 동손에 3상이면 3을 곱하는 것입니다.
전류는 1상의 전류가 될 것이고, 저항은 변압기 권선의 저항을 의미합니다.
3)변압기 효율
대부분의 문제에서 단상변압기의 효율을 묻고 있습니다.
출력, 동손, 철손을 통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동손은 부하율제곱 * 전류제곱*저항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질문2.
출력, 동손, 철손 구분하여 이해하시는게 좋습니다. (공식암기 비추천)
1) 출력
유효전력 : 루트3*선간전압*선전류*역률 = 3*상전류제곱*부하저항
2) 동손
3*1대의 동손 = 3 * 코일에흐르는 전류(상전류)의 제곱 * 코일의 저항
3) 철손
3*1대의 철손
질문3.
손실은 모두 유효전력 입니다.
부하에서의 유효전력은 출력이라고 말하고,
선로나 코일에서의 유효전력은 전력손실 또는 동선이라 말합니다.
선로에서 손실은 전류제곱*선로저항인데 여기서 선에 흐르는 전류가 적용 되니 선전류가 되고,
코일에서 손실은 전류제곱*코일저항인데 여기서 코일 상에 흐르니 상전류가 됩니다.
부하에서 전력은 전류제곱*부하저항인데 여기서 부하 상에 흐르는 상전류가 됩니다.
3*부하상전류제곱*부하저항 = 루트3*선간전압*선전류*역률
질문4.
모든것을 공식화 하시게 되면 더 많은 혼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출력, 동손, 전력손실이 정확히 무엇이고 어디에서 발생하는 것인지 이해하시기를 권장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회로, 그림으로 그려보시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