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단위벡터 구하는법
- 작성자
- towjdtn
- 작성일
- 2025-07-07 15:22:06
- No.
- 180602
- 교재명
- 과년도2권
- 페이지
- 282,421
- 번호/내용
- 단위벡터 구하는법
- 강사명
- 최종인
단위벡터구하는 법을
인강에서 중요하게 다루지 않고 이렇다 하고 넘어갔는데단위벡터 구하는 법만 살짝 달라도 답이 달라질 정도로 중요한 거 같같아서요. 단위벡터를 구하는 명확한 방법이 있나여? 인강에선 그냥 빼셨는데 빼는 위치만 달라져도 부호가 반대가 되는데 어떤걸 앞에다 두고 어떤걸 뒤에 두어야 하는건가요?
- 첨부파일 : IMG_1841.jpeg (2.82MB)
- 첨부파일 : IMG_1841.jpeg (2.82MB)
- 첨부파일 : IMG_1842.jpeg (2.07MB)
거리 벡터에 대해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벡터에는 '시점'과 '종점'이 있는데, 거리벡터는 '종점'에서 '시점'을 빼준 벡터입니다.
일반적으로 '작용 받는', '영향을 받는' 쪽을 종점으로 둡니다.
282p 15번의 경우, '점전하 -100uC 에 작용하는'으로 써져 있습니다.
즉, 작용받는 (2,0,5)가 종점이 됩니다.
따라서 종점에서 시점을 뺀 (2,0,5) - (1, 2, 3)으로 거리 벡터를 설정한 것입니다.
421p 16번의 경우, 점 (2,5,6)이 '영향을 받는' 쪽이므로 종점이 됩니다.
따라서 종점에서 시점을 뺀 (2,5,6) - (2, 2, 2)으로 거리 벡터를 설정한 것입니다.
거리 벡터 크기는 시점과 종점 상관 없이 빼주고 제곱하여 전체 루트하면 됩니다.
제곱이 되기 때문에 결과 부호는 모두 +로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5-2)² = (2-5)² 입니다.
거리 벡터에서 그 크기를 나눠주면 단위 벡터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