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찌리리공
- 작성일
- 2025-07-09 14:28:29
- No.
- 180759
- 교재명
- 다산패스 실기
- 페이지
- 18
- 번호/내용
- 18년 2회 8번
- 강사명
- 이재현
18-2-8번
(4)의 PT 정격이 상전압이 아닌 선간전압으로 쓴 이유를 질문드렸는데
"해당 도면에서는 V결선으로 표시되어있습니다.
V결선의 경우, 선간전압과 상전압이 같기 때문에 그대로 6600[V]가 상에 걸립니다"
라고 답변해주셨습니다. 여기서 V결선으로 표시되어있다는게 밑에 계기용 변압기 VV 된거 말씀 하신건가요?
근데 그러면 그 위에 YY오픈델타인 GPT 는 Y 결선된거 아닌가요? 정확한 기준을 모르겠어요
18-3-13
18-3-13
발전기 용량을 구할 때 표의 입력 KVA를 다 더한값인 362를 쓰면 안되나요?라고 질문 했었는데
현재 부하별로 서로 역률이 다르며, 전체의 역률 합계가 88%로 나와있습니다.
"표에서의 입력[kVA]는 각각의 입력[kW]을 각각의 역률로 나눠준 값일 뿐입니다.
따라서 발전기용량을 구할 때 부하별 kW입력에서 전체역률 88%로 나눠주시면 되겠습니다."
라고 답변이 왔어요 이 말은 입력 KVA 를 다 더해서 구해도 정답이라는 뜻인가요?
16-1-7
단권변압기 용도 중에 초고압 전력용 변압기도 되나요?
15-2-18
NAND만의 논리식을
L=AB+CD 로
간략화해서 쓰면 틀리나요?
11-3
이도의 영향 4가지
1. 이도의대소는 지지물 높이를 좌우한다
2. 이도가 너무크면 좌우로 진동하여 층간단락 위험이있다
3. 이도가 너무크면 도로, 철도 같은 횡단장소에서 접촉우려가있다
4. 이도 너무 작으면 장력이 증가해 단선위험이 있다
가능한 답안인가요?
또 층간단락하고 상간단락하고 다른가요?
12-1
풀박스: 전선의 통과를 쉽게 하기위해 설치
가능한 답안인가요?
18-2-8번
소문제(4)에서 PT 는 V-V 결선되어 있습니다. (복선도 참고)
PT의 1차측 권선(상)에 선로의 선간전압이 인가가 됩니다.
따라서, PT 1차측 전압은 선로의 선간전압과 같습니다.
그 위의 Y-오픈델타는 PT 1차측 권선에 선로의 선간전압/루트3 의 전압이 인가가 되고,
오픈델타측에서는 영상전압이 측정됩니다.
18-3-13
해당문제에서는 피상전력의 산술합으로 하시면 안됩니다.
해당문제 발전기용량은 부하전력(유효전력) / 합성역률 로 구하셔야 합니다.
16-1-7
단권변압기는 전력시스템에서 전압을 조금만 높이거나 낮춰야할 때 사용합니다.
초고압 전력용 변압기라는 용어는 옳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15-2-18
NAND 만의 논리회로로 작성을 요구하므로 해당 논리식으로 작성이 옳다고 판단됩니다.
11-3
송전선로가 상별로 층층이 있습니다.
동일하게 볼 수 있으나, 교재에서와 같이 상간단락이라는 표현이 더욱 정확합니다.
12-1-5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