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찌리리공
- 작성일
- 2025-07-11 18:20:49
- No.
- 180953
- 교재명
- 패스
- 페이지
- 24-2-10번
- 번호/내용
- 24-2-10
- 강사명
- 이재현
24-2-10번
중성점접지 장단점
장점
1. 이상전압 발생 경감 및 방지
단점
1. 지락전류가 매우 커서 과도안정도 나쁘다
2. 통신선 유도 장해 크다
3. 지락전류가 매우 커서 수명이 나쁘다
가능한 답안인가요?
24-3-10
괼호 1번에 직접매설식은 안되나요? 직접 매설식도 1m 0.6m 인걸로 알고있는데 이 문제에서 무엇으로 관로식 직접매설식 구분하는지 모르겠어요. 12년 1회 15번의 답안을 보면 직접매설식도 1m 0.6m라고 써있어요
18-2-8(7)
선로와 전로의 차이점이 있나요? 다른문제들 풀때 선로와 전로를 구분해서 써야되나요?
18-1-9(2)
변압기 1대의 정격용량으로 (2)번을 풀었는데 그러면 3대용량인 167.71kVA도 정격용량으로 해야되는거 아닌가요?
17-2-15(2)
이 문제에서는 왜 변압기 정격값으로 2번을 안푸나요?
정격값으로 풀어도 되는건가요?
16-3-12(3)
MOF의 정격을 구할때 주변압기인 몰드변압기의 1차 부분으로 보면 델타결선으로 22.9kv 가 그대로 상전압으로 되는거 아닌가요?왜 정격을 구할때 맨위에있는 3상 4선식으로 구하는건가요?
13-3-1
강의에선 차단기를 CB 라고 썼고 답안에는 OCB라고 써있는데 어떻게 써야 되나요?
24-2-10번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24-3-10
질문자님 말씀대로 매설깊이 규정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규정에 해설과 같이 순서대로 제시되어 있으므로, 동일작성을 권장합니다.
18-2-8(7)
배전전로라는 용어는 잘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배선선로라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8-1-9(2)
해당 문제는 과부하율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과부하율은 부하용량/변압기용량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부하의 용량인 167.71을 적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17-2-15(2)
변압기용량은 부하를 기준으로 선정합니다.
즉, STr에서 합성최대수요전력의 값을 기준으로 합니다.
Tr1, 2, 3의 표준용량 합으로 구할 경우 STr이 과설계가 됩니다.
따라서, 각 부하의 값을 대입하는 것이 맞습니다.
16-3-11(3)
22.9kV 는 1차측 선간전압을 의미합니다.
3상전력은 루트3*선간전압*선전류입니다.
선전류를 구할시 선간전압(22.9kV)를 적용합니다.
또한 델타결선에서는 선간전압과 상전압은 같습니다.
13-3-1
문제의 제시된 설비에서 "유입 차단기"라고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OCB로 작성하시는 것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