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건전피더 질문
- 작성자
- 전기기사뿌시기
- 작성일
- 2025-07-15 00:40:45
- No.
- 181184
- 교재명
- [기출] 전기기사 실기 기출문제집 (24개년)
- 페이지
- p534
- 번호/내용
- p534
- 강사명
- 이재현
제가 어제 질문드렸는데 그거 재질문 드립니다.
1. 댓글다신게 이해가 됐는데 그렇다면 왜 22-1-15번 문제에서, 한 부분만 구했다고 했는데 왜 부하1에서 고장난걸 기준으로 구했나요? 부하2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12년도 3회차 13번 문제와 같이 지락전류가 부하1이랑 부하2에서의 값이 다르잖아요?? 물론 22년도 문제는 값이 같게 나오긴 해서 그런건가요?? 만약 값이 다르다면 부하 1에서 고장난걸로 구해야 하는지 2에서 고장난걸로 구해야 하는지 명확히 나오겠죠?
2. 아니 그리고 제일 중요한거는 12년도 3회차 문제도 사실 이상합니다. 2개 다 구하셨다고 하는데 문제보면 ELB1의 출력단에 지락발생 예상이라고 적혀있으면 부하 1에서만 지락사고 발생시 ELB1이랑 ELB2 구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22년 1회 15번 문제에서는 지락이 ELB₁의 출력부에서 예정된다고 하였고,
소문제에서 간단히 누전차단기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기 위한 전류범위를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단순히 ELB₁의 동작범위만을 구한 것입니다.
12년 3회 13번에서는 소문제에서 ELB₁, ELB₂ 모두 구하라고 하였기에 경우를 나눈 것이며,
이 문제에서도 ELB₁의 출력부에서 지락발생 예정이라고 언급되어있긴하지만,
ELB₁, ELB₂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기 위한 범위를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결과적으로 부하 1, 2를 모두 고려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해당 문제는 이전에 문제를 해석하는 데 있어 수험생분들이 많이 혼동되셨고 논란이 있던 문제입니다.
따라서 다시 출제된다면 조건이 보다 명확하게 주어질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