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접지된 외구
- 작성자
- fowles112
- 작성일
- 2025-07-16 10:44:12
- No.
- 181280
- 교재명
- 전기기사 필기 기출
- 페이지
- 1108
- 번호/내용
- 2021년 3회 전기자기학 4번
- 강사명
- 이재현
교수님이 동심구에 대한 개념을 두 번 설명해주셨는데요.
2장 정전계에서 전하분포에 따른 전위와 전계를 설명하실 때 동심구를 설명해주셨는데
이때는 접지와 상관없이 내구에만 전하를 주었을 때와 외구에만 전하를 주었을 때 2가지 상황으로 나누어서 설명해 주셨고
또 정전용량을 구할 때는 접지라는 개념을 추가하여 전위를 계산해 주셨습니다.
일단 첫번째로 궁금한게 내구에 +Q의 전하가 주어졌고 외구에는 전하가 0인 상태와
내구에 똑같이 +Q의 전하가 주어졌고 외구는 접지한 상태일 때 내구의 전위를 구하면 값이 달라지나요?
저는 외구의 전하가 0인 상태를 접지된 상태와 똑같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리고 교제의 해설도 좀 이해가 안됐습니다.
외구 접지인데 QB에 -Q의 전하가 남아있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외구 전하 0과 외구 접지는 다릅니다.
외구 전하 0의 경우, 외구 전체의 전하량이 0이 된다는 것이지 외구 표면의 전위는 0이 아닐 수 있습니다.
외구 접지 상태의 경우, 외구 표면의 전위만 0이 되도록, 접지를 통해 필요한 만큼 땅에서 전하가 들어오거나 나갈 수 있습니다.
내구에 +Q의 전하가 주어졌다면
외구 전하 0일 때, 외구 안쪽면에는 -Q가 유도되며 바깥면에는 +Q가 유도됩니다.
외구 접지일 때, 외구 안쪽면에는 -Q로 유도되며 바깥면에는 0이 됩니다.
외구 바깥면 전위가 이미 0이고 외구 바깥면 전하가 모두 대지로 빠져나갔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