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보호등전위,보조보호등전위
- 작성자
- don-ho
- 작성일
- 2025-08-25 20:55:50
- No.
- 182093
- 교재명
- 전기설비기술기준
- 페이지
- 17
- 번호/내용
- 접지시스템
- 강사명
- 최종인
안녕하세요. 열대야로 고생이 만으십니다!
1>1장/p17 접지시스템 구성에서 2.보호등전위 본딩과,4.보조보호등전위본딩 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본딩이란 용어는 어떻할때 사용되는지도 궁금합니다?
2>접지시스템 구성도에서 보호도체,보호등전위본딩도체,접지도체,보조보호등전위본딩도체,주접지단자,노출도전성부분,계통외도전성부분,주금속제 수도관
접지극 들이 땅속에 접지극과 모두 연결된 상태라면 동일한 저항값,전위값 이 나올거 같은데요,,, 각각의 이들을 구분하여 명명하는 것은 무슨 이유가 잇는
것 일까요? 이들 각각의 저항값에 차이가 발생해서 전위(v)차 가 발생되기 때문일까요?
1>
보호등전위 본딩은 금속 도전성 부분(수도관 등)을 주접지 단자와 연결한 것입니다.
반면 보조 보호등전위본딩은 노출 도전성 부분을 계통외도전성 부분에 연결한 것입니다.
어떤 것과 어떤 것을 연결했는지에 따라 이름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본딩은 전기설비에서 서로 다른 도전성 설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등전위 상태로 만들어 전위차를 없애는 작업을 말합니다.
2>
이상적 조건에서는 동일한 저항과 전위를 기대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미세한 차이가 발생합니다.
길이, 직경, 형태, 주변 환경에 따라서 저항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구분하여 명명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능과 역할을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에 이 중 하나를 교체해야 한다는 상황이 생겼을 때, 이름이 모두 같다면 혼동이 생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