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단도체, 복도체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범3
작성일
2025-09-01 22:41:30
No.
182256
교재명
2025 전기(산업)기사 실기 이론서
페이지
.
번호/내용
복원문제 단도체 관련 문제
강사명
남민수





질문1) 만약에 문제 조건에서 [단도체로 간주!] 라는 문장이 없으면, 도선이 3개라서 복도체로 간주하고, 복도체 작용 인덕턴스 공식,  작용 정전용량 공식을 사용해야 하나요?

아니면 복도체, 다도체는 2개, 4개, 6개씩 짝수로 구성되기 때문에 홀수인 3개는 단도체로 간주해야 하나요?

아니면 큰 피복 안에 작은 소도체 2개 그림이 있어야지, 그때 복도체라고 생각하고 계산하는 건가요?

지금 그림은 큰 피복안에 소도체가 있는 그림이 아니고, 그냥 전선 3개만 있기 때문에 단도체라고 봐야 하는 건가요?

이 문제와 동일한 문제를 필기 문제에서 발견했는데, 필기 문제에서는 [단도체로 간주한다]라는 '조건'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도선이 1개가 아니고 3개인데 왜 단도체로 간주하는지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질문2) 문제에서 복도체 그림이 있는 경우에, 소도체 개수가 안 적혀있으면 이때 복도체에서 소도체의 개수는 무조건  2개인가요?

복도체에서 소도체는 2개, 다도체에서 소도체 개수는 2개가 아니고, 4개,6개,8개 ... 즉 4개 이상인 2의 배수의 개수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그럼 복도체는 소도체 개수를 명시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다도체는 무조건 소도체 개수가 문제 조건에서 제공하겠네요?

COMMENTS

다산에듀 담당교수
2025-09-02 08:46:16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답변1)
먼저, 첨부하신 이미지의 문제는 단도체입니다.
단도체와 복도체를 구분하는 기준은 한 상당 도체가 몇 개인지입니다.
복도체일 경우에는 문제에서 언급을 해주므로, 언급이 되지 않는다면 모두 단도체로 보고 풀이해주시면 됩니다.
지금의 그림은 상이 서로 다른 단도체 3개 즉, 3상으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답변2)
일반적으로 복도체의 경우 소도체의 개수가 명시되지않으면 2복도체로 간주합니다.
만약 소도체가 여러개라면 소도체의 개수는 4 또는 4복도체 등으로 주어집니다.

보통 2복도체 154kV, 4복도체 345kV, 6복도체 765kV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