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강사님 전력공학 P. 33 개념확인 1번 문제(복도체와 단도체의 개념, 답이 왜 이런지 궁금합니다.)
- 작성자
- 자격증취득목적
- 작성일
- 2025-09-02 15:25:24
- No.
- 182270
- 교재명
- 속전속결 전력공학 (필기)
- 페이지
- 33
- 번호/내용
- 1번/ 복도체와 단도체를 비교시 인덕턴스와 정전용량 궁금합니다
- 강사명
- 권동성
Q1.
전력공학 P. 33 1번 문제에서 D(등가 선간거리)가 감소하기 때문에 전선 1가닥에 대한 단위 길이당 작용 인덕턴스 [mH/km]는 복도체와 단도체를 비교시 복도체일 때, 약간 감소하고, 1선당 단위 길이당 작용 정전용량 [μF/km]가 약간 증가하나요?
Q2.
왜 D(등가 선간거리)가 감소하는 건가요?
Q3.
복도체는 전선이 여러 개 있는거고, 단도체는 전선이 한개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 단도체 vs 복도체
1) 단도체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1가닥으로 구성
예를 들어, 22.9kV 전주에 전선 L1, L2, L3, 3상이 각각의 3가닥의 선으로 가는데 이를 단도체.
2) 복도체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2가닥 이상으로 구성
예를 들어, 154kV 철탑에 전선 L1, L2, L3 3상 공급시 1상당 2가닥 이상의 전선을 가설하여 전력공급하는데 이를 복도체.
우리나라에서 2도체(154kV), 4도체(345kV), 6도체(765kV)가 일반적으로 사용됨.
즉, 1상의 전선을 1가닥으로 송전하면 단도체가 되고, 다수의 전선으로 송전하면 다도체(복도체)라고 합니다.
또한, 등가 반지름 r에 대하여,
인덕턴스의 경우 r이 커지면 log값이 작아지므로 L은 작아지고,
정전용량의 경우 r이 커지면 log값이 작아져 분모가 작아지므로 C값은 커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