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지락사고시 전압관련 질문
- 작성자
- iamsng
- 작성일
- 2025-09-17 15:52:43
- No.
- 182734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기출2
- 페이지
- pg.420, pg.429
- 번호/내용
- 20년 1회 12번, 20년 2회 1번
- 강사명
- 이재현
20년 1회 2번을 보면, a상에 지락사고가 나도 선간전압이 6.6KV로 일정하다고 하고, 지락+부하 전류를 구합니다.
20년 2회 1번을 보면, A선에 누전=지락이 발생하였는데 이때 A에 걸리는 전압은 0이 됩니다.
하나는 선간전압 유지, 나머지는 전압이 0으로 됩니다. 같은 지락사고 인데 왜 걸리는 전압이 다른지 궁금합니다.
먼저, 20년 1회 2번은 부하전류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a상에 지락이 발생한 것입니다.
a상에서 지락이 발생하면 이는 0전위가 되는 것이 아닌 병렬구조로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하나 더 늘어나게 되어
부하전류 + 지락전류의 벡터적인 합이 흐릅니다.
지락된 경로 상에 저항 300Ω이 있으므로 0전위로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20년 2회 1번은 접지형계기용변압기(GPT)에 관련된 문제로, 20년 1회 2번과는 다른 유형의 문제입니다.
여기는 A선에 직접적으로 누전이 발생하였고, 따라서 기준전위인 0전위로 수렴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