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3권선 변압기 3차 방향

작성자
이귀매
작성일
2025-10-11 18:25:49
No.
183873
교재명
실기기출2권
페이지
538
번호/내용
2022년 1회 문제18번
강사명
이재현

질문1. 3권선 변압기 단락시, %임피던스는 1,3차가 병렬로 연결되고 그것과 2차가 직렬되었다라고 등가화 시켜서 문제풀이를 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허나 이 문제는 첨부한 사진과 같이 왜 2,3차가 병렬로 연결된건가요?

질문2. 무효전력(진상) 부호를 +로 잡으셨는데

전류를 기준으로 무효분의 부호를 결정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렇기에 전압은 전류를 기준으로 진상역률일때 -부호를 갖게되고 

전류는 앞서기에 +부호를 갖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근데 전력은 무엇을 기준으로 보아야하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진상무효전력은 전압과 같은 -부호 지상무효전력은 +부호로 그냥 암기해도 될까요?


COMMENTS

다산에듀 담당교수
2025-10-13 11:11:57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답변 1.

[2차측 단락사고 시]

2차측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2차측에서 바라본 전류는 1차와 3차가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가 됩니다.

이때, 1차와 3차 임피던스는 병렬로 합성하고, 이 병렬 임피던스와 2차 임피던스는 직렬로 연결됩니다.


즉, 임피던스 맵은 '1차 // 3차 + 2차' 구조로 그리며, 실제 계산 시 1차와 3차 임피던스의 병렬합을 구한 뒤, 2차 임피던스를 더해줍니다.

2007년 1회 15번 문제가 이 구조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1차측만 공급하는 경우 (단락사고 없음)]

1차측만 전원을 공급하고, 2차와 3차는 부하로만 동작하며 단락사고가 없는 경우에는

전류가 1차에서 2차와 3차로 나뉘어 흐릅니다.


이때는 임피던스 맵을 '1차 = 2차 + 3차' 구조로 그릴 수 있습니다.

2022년 1회 18번 문제가 이 구조에 해당합니다.




답변 2.

복소수 형태로 구할 때 전류를 기준으로 하면 진상전류는 +, 지상전류는 -로 표현합니다.

전력을 구할때는 전압과 전류의 공액차이로 인해 허수부의 부호가 반대로 됩니다. 

만약 지상무효전력이 (+)이면, 진상무효전력은 (-), 지상무효전력이 (-)이면, 진상무효전력은 (+)로 표현됩니다.


다만, 일반적으로는 지상부하인 경우가 많으므로 지상무효전력은 +, 진상무효전력은 지상무효전력을 상쇄시키므로 -로 표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