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입니다. (완)

작성자
불룰
작성일
2025-10-24 11:48:49
No.
184658
교재명
전기기사 실기기출문제집
페이지
.
번호/내용
.
강사명
이재현




1. 190209  문제의 경우

    1) 오결선된 적산전력량계의 그림이 나와있는데. 그럼 정상 결선은 아래 그림에 해당되나요 ?       ( 완 ) 

    2) 아래 그림은 디지털 적산전력량계 가 맞나요?  ( 그럼 아날로그 는 톱니바퀴 구조가 있는거라고 보면되나요.... ) 

 




2. 이전 수전설비결선도상 CPD 는   ' 콘덴서형 계기용 변압기(CPD : Coupling Capacitance Potential Device) ' 라는 답변을 받았었는데

 아래의 변전소 단선도 상에서 CPD 는 무엇이라고 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그리고  둘의 정의는 뭐라고 잡는게 좋은지 궁금합니다... ) 




3. 230315 의 소문제 4번은 아래 와 같은데...

   '(4) 도면의 345[kV] GCB에 내장된 BCT의 오차계급은 C800이다.  부담은 몇 [VA]인가?'

   위에서 '부담'은 별 말이 없어도 'CT의 정격부담' 이라고 받아들여야하는건가요 ? 



4. 이전 질문 기반 재질문인데... 그럼 첫번째  심벌은 스위치 기능이 없는 전력퓨즈 라고 받아들여야하나요 ? 

아래 심벌은 스위치 + 전력퓨즈(퓨즈링크) 인 COS 라고 봐야하나요 ? 

 


 


COMMENTS

다산에듀 담당교수
2025-10-27 08:30:21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1)
네, 그렇습니다.
아래 영상도 추가로 학습해주세요.
https://youtu.be/3lmgn-IaviU
1-2)
현재 디지털식 적산전력량계만 사용되어, 기계식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2)
동일합니다. 콘덴서형계기용변압기 그대로이며,
고전압측을 권선 대신 커패시턴스를 이용하여 1차전압을 분배시키고,
사용하기 적당한 전압을 만들어 이 전압을 권선형 PT로 필요한 전압을 얻는 방식입니다.
3.
네, 그렇습니다.
4.
파워퓨즈는 한번 끊어지면, 재투입이 불가합니다. 다시 교체해줘야합니다.
또한COS(PF)는 컷아웃스위치 또는 PF를 의미합니다.
컷아웃스위치와 PF의 심벌은 똑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