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y-델타 기동법, 정역회로 2차측 접속 순서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범3
- 작성일
- 2025-11-06 02:24:46
- No.
- 185544
- 교재명
- 2025 전기(산업)기사 실기 이론서
- 페이지
- .
- 번호/내용
- 시퀀스 회로
- 강사명
- 남민수
다산질문.


L1-V(2차측 2번째), L2-U(2차측 첫번째), L3-W(2차측 세번째) 연결

2차측 L1과 L3만 바꾸어 결선.
질문1) Y-델타 기동법과 정역회로를 구분하는 방법은 2차측 접속점 연결 순서인가요?
만약 Y-델타 기동법과 정역회로 2차측 접속점을 동일하게 그린다면 오답이 되나요?
예를들면 Y-델타 기동법 2차측을 정역회로처럼 2차측 L1과 L3만 바꾸어 결선하기.


*y 결선처럼 생겼습니다.


*전혀 델타결선처럼 안생겼습니다.
질문2) y - 델타 기동법 2차측 연결 순서가 왜 L1ㅡV(2번째), L2ㅡW(3번째), L3ㅡU(첫번째) 인가요?
Mc2는 Y 결선 이해가 되는데, Mc3 델타결선은 이해가 안됩니다
델타 결선이여서 L1ㅡV(2번째), L2ㅡW(3번째), L3ㅡU(첫번째) 순서로 접속점 표시를 하는건데, 이 순서가 델타결선과 무슨 연관성이 있는건가요?
만약 y-델타결선도를 그릴때 1차측 처럼 L1-u, L2-v, L3- w 순서로 그리면 오답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질문1.
정역운전의 경우 1선은 동일하고, 나머지 2선을 서로 바꿉니다.
또한 MC1, MC2 양단에서 서로 변경합니다.
와이-델타 같은 경우 전동기를 사이에 두고 전자접촉기_델타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전동기 내부에 각 코일이 있으며, 코일이 델타결선 연결됩니다.
질문2.
아래의 그림처럼
MC(y) 전자접촉기가 연결되면 모터(전동기) 내부의 코일이 와이결선이 되고,
MC(D) 전자접촉기가 연결되면 모터(전동기) 내부의 코일이 델타결선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