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유전체 구에 대한 전속 분포
- 작성자
- fowles112
- 작성일
- 2025-11-16 15:56:04
- No.
- 185743
- 교재명
- 전기기사 필기 기출 문제집
- 페이지
- 2022년
- 번호/내용
- 1회 19번
- 강사명
- 이재현
이 문제 때문에 유전체의 경계조건 개념까지 헷갈리네요.
우선 유전체의 경계 조건에서 입실론1/입실론2 = 탄젠트세타1/탄젠트세타2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다시말해서 유전율이 클수록 법선과의 각이 커지면서 굴절율이 커진다는 의미겠죠.
이 현상은 입사파가 전계든 전속이든 상관없이 유전율이 상대적으로 더 큰 곳으로 입사를 하면 굴절각이 커지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22년도 1회 19번의 문제가 과년도에서 생각보다 자주 출제된 문제인 거 같은데..
이 문제 자체가 이해가 안됩니다.
우선 전속을 기준으로 잡으면 유전율이 큰 곳으로 전속이 모이는 분포가 된다고 하는데
제가 직접 그림을 그려봤습니다.

유전체 구의 내부가 유전율이 더 크다고 가정하면
우선 구의 중앙을 뚫고 들어가는 전속(파란색)은 굴절이 없이 투과되겠죠.
근데 구의 다른 곳을 투과하는 전속은 (빨간) 그 지점에 법선을 그어보면 구 안의 유전율이 크기 때문에 그림처럼 더 밖으로 꺾이게 됩니다.
그러면 모이는 게 아니라 퍼지는 게 정상 아닌가요?
이렇게 해석하면 전계도 마찬가지로 퍼지는 그림이 되겠죠.
저처럼 경계조건에 의한 방식으로 해석하는 문제가 아닌가요?
강의에서는 유전율이 크면 전하를 유혹하는 힘이 더 크기 때문이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멀쩡히 직진하던 전속이 자석처럼 유전율이 큰 쪽으로 빨려들어간다는 뜻인가요?
그렇다면 전계는 왜 유전율이 작은 쪽으로 모이게 되는 것인가요?
제대로된 원리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