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3상 전력에 관해 문의 드립니다.
- 작성자
- 채영선
- 작성일
- 2015-03-20 01:32:16
- No.
- 28636
- 교재명
- 페이지
- 번호/내용
- 강사명
안녕하세요 원장님.
원장님 덕분에 전기공부 재미있게 잘 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3상 전류 에 관해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단상에서 말입니다 정격용량이 정해져있는 기기는 p=vi 라는 공식으로 i=p/v 으로 기기에 대한
전선의 정격허용전류를 구하여 전선의 굵기 선정을 하는데요
3상에서. p=√3*v*i 이면 전선의 정격 허용전류는 i= p÷√3*v 가 아닐까... 하는데요
실제 기기 제작 시 설계에 의하여 정격용량이 정해진 기기의 전선 정격 허용전류 계산은
i= p÷√3÷v 으로 계산하는데요
전압을 루트3으로 곱하지 않고 나눠주는 이유는 단상으로 계산하여 한선에 대한 전류를 구하기
위해서 인가요?
사실 몇년동안 기기 제작 업게에 종사하면서 선배들이 가르쳐준 계산식에 의해 당연히 그렇게
하나보다 ... 하고 쇠뇌되었다고 할까요? 뭐 그런 수준으로 배우고 또한 후배들한테도 그렇게
가르키고 있지만, 전기 공부를 깊게 하고싶어 공부 하면서 의무적으로 해왔던 일들이 사실 의문점
이 굉장히 많은건 사실입니다.
가령 예를 들자면 일전에 제가 한번 원장님께 질문 드린적있는데
보통 기기 제작용 전선을 사용할때 (HIV전선 많이 사용합니다.) 1SQ당 3A 씩 허용전류를 두고
전선의 굵기를 선정하는데 부스바는 1SQ당 2A 로 허용전류를 계산하라 고 만 말하지 그에 대한
이유는 아무도 설명을 못하는 겁니다. 하여 원장님 께서 답변을 주셨죠 부스바는 경동선으로 취급
되며 고유저항이 1/55 옴 이어서 1/58 옴인 연동선보다 저항값이 커서 그러하는거 같다 라고.
이렇게 단순한거 같지만 이론과 실무와 연관지어 생각한다는건 실무자들은 많이 헷갈리고 어렵습니다.
@네 질문의 요지는 예를들어서 (기기 제작시 메인전선 라인의 전선굵기를 선정하기위한 계산입니다)
1000kva 용량의 기기입니다. 전압 사양은 입출력 3상 380V 입니다.
(전선 1SQ당 허용전류는 3A 로 정합니다. 역율 무시)
계산식 : 1000 ÷ 380 ÷ √3 = 한선의 허용전류 에서 3을 나누어주어 전선의 굵기를 선정 합니다.
여기에서 전압 나누기 √3 을 하는 이유는 무었인가요?
제 생각에는...이론상 3상 전력 p = √3*v*i 이면 전선의 정격 허용전류는 i = p/√3*v 여서
1000÷380*√3라고 생각 되는 데 말입니다. 전문적으로 속시원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원장님 덕분에 전기공부 재미있게 잘 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3상 전류 에 관해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단상에서 말입니다 정격용량이 정해져있는 기기는 p=vi 라는 공식으로 i=p/v 으로 기기에 대한
전선의 정격허용전류를 구하여 전선의 굵기 선정을 하는데요
3상에서. p=√3*v*i 이면 전선의 정격 허용전류는 i= p÷√3*v 가 아닐까... 하는데요
실제 기기 제작 시 설계에 의하여 정격용량이 정해진 기기의 전선 정격 허용전류 계산은
i= p÷√3÷v 으로 계산하는데요
전압을 루트3으로 곱하지 않고 나눠주는 이유는 단상으로 계산하여 한선에 대한 전류를 구하기
위해서 인가요?
사실 몇년동안 기기 제작 업게에 종사하면서 선배들이 가르쳐준 계산식에 의해 당연히 그렇게
하나보다 ... 하고 쇠뇌되었다고 할까요? 뭐 그런 수준으로 배우고 또한 후배들한테도 그렇게
가르키고 있지만, 전기 공부를 깊게 하고싶어 공부 하면서 의무적으로 해왔던 일들이 사실 의문점
이 굉장히 많은건 사실입니다.
가령 예를 들자면 일전에 제가 한번 원장님께 질문 드린적있는데
보통 기기 제작용 전선을 사용할때 (HIV전선 많이 사용합니다.) 1SQ당 3A 씩 허용전류를 두고
전선의 굵기를 선정하는데 부스바는 1SQ당 2A 로 허용전류를 계산하라 고 만 말하지 그에 대한
이유는 아무도 설명을 못하는 겁니다. 하여 원장님 께서 답변을 주셨죠 부스바는 경동선으로 취급
되며 고유저항이 1/55 옴 이어서 1/58 옴인 연동선보다 저항값이 커서 그러하는거 같다 라고.
이렇게 단순한거 같지만 이론과 실무와 연관지어 생각한다는건 실무자들은 많이 헷갈리고 어렵습니다.
@네 질문의 요지는 예를들어서 (기기 제작시 메인전선 라인의 전선굵기를 선정하기위한 계산입니다)
1000kva 용량의 기기입니다. 전압 사양은 입출력 3상 380V 입니다.
(전선 1SQ당 허용전류는 3A 로 정합니다. 역율 무시)
계산식 : 1000 ÷ 380 ÷ √3 = 한선의 허용전류 에서 3을 나누어주어 전선의 굵기를 선정 합니다.
여기에서 전압 나누기 √3 을 하는 이유는 무었인가요?
제 생각에는...이론상 3상 전력 p = √3*v*i 이면 전선의 정격 허용전류는 i = p/√3*v 여서
1000÷380*√3라고 생각 되는 데 말입니다. 전문적으로 속시원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P = 루트 3 * 전압 * 전류이기 때문에
전류 I = P / (루트 3 * V)로써, 3상에서도 전압은 나눠줍니다.
질문의 요지를 제가 잘 파악하지 못하였다면, 다시 질문 주시기 바랍니다.